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일반

3주 참으면 나쁜 습관과 작별···‘작심평생’ 실천법

"올해는 작심삼일(作心三日)의 뼈저린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아야 하는데···."

해마다 이맘때면 지난해 연말 야심차게 세웠던 계획들이 이미 기억 너머로 사라진 사람들도 많다. '작심삼일'이란 사자성어를 탓하면서 자신을 책망하기도 한다.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의 도움을 받아 '작심평생'을 실천할 수 있는 비법을 알아본다.

◆'21일 약속'을 지켜라=지난 연말에 세운 계획을 지키기 힘든 '핑계'가 발생했더라도 일단 21일까지는 꾸준히 실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기존의 나쁜 습관을 버리고 성공을 몸에 익히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이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의 연구에 따르면 좋은 습관을 21일 동안 의식적으로 실천하면 뇌에 시냅스(신경 간의 연결)가 형성돼 생체 리듬까지 교정돼 평생 습관으로 정착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나만의 긍정주문을 만들어라=슬럼프는 누구에게나 찾아오기 마련이다. 이 때 슬기롭게 슬럼프를 벗어날 수 있는 나만의 긍정주문 하나쯤은 미리 생각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는 최고의 지략가다', '올해 판매왕은 내 차지다' 등 성공을 달성한 자신의 모습을 떠올리는 주문이 효과적이다.

◆성공을 정의하라=성공에 대한 기준은 사람마다 다를 수 밖에 없다. 스스로 생각하는 성공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이때 직업적, 경제적, 사회적, 신체적, 정신적 가치 등 5가지 영역으로 나눈 뒤 각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을 글이나 이미지로 표현하는 것이 좋다. 혹시 이마저도 힘들다면 '삶의 마지막 순간에 사람들에게 어떤 모습으로 기억되고 싶은가'에 대해 스스로 물어보면 보다 명확해 질 수 있다.

◆매일 평가하라=평가와 피드백이 없으면 목표 달성률이 40% 이하로 떨어진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였는지 일기를 쓰면서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다. 정 바쁘다면 다이어리 등에 그날 목표와 달성여부를 표시해 나태해지기 쉬운 마음을 다잡을 필요가 있다.

◆멘토와 함께하라=계획을 얼마만큼 실천하고 있는지 점검해줄 멘토가 있다면 실천의지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유명인이 아니더라도 직장내 상사나 동료 혹은 가족 중에서 멘토를 선정해도 된다. 필요에 따라 서로 상대방의 멘토가 돼 격려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다.

◆일주일중 하루는 자신에게 보상하라=최고의 동기부여는 '보상'이다. 성공을 위해 열심히 매진한 스스로에게도 적합한 보상을 해준다면 계획을 달성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예를 들어 게임 마니아라면 일주일에 하루쯤은 퇴근 후 맘껏 게임을 하면서 재충전의 기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