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대출을 이용하는 서울시민 1명당 원리금 상환에 연평균 640만원을 부담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5개 자치구 중 용산과 노원구의 담보대출 부실이 상대적으로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서울연구원의 '서울시 주택담보대출 현황 및 정책점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5월 말 기준으로 시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127조원이다. 이는 5년 전인 2007년의 108조원보다는 늘어났지만 2012년 1월 130조원보다는 약간 감소한 규모다.
연구원이 시중 은행 한 곳의 서울시민 대상 주택담보대출 전수자료(4만5464건·4조6282억원) 분석 결과를 보면 지난해 5월 현재 주택담보대출 1건당 약정금액과 대출잔액은 각각 1억1900만원과 1억200만원으로 분석됐다.
대출잔액이 1억원 이상은 전체의 76%를 차지했다.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상환부담을 뜻하는 '부채서비스'는 이용자 1인당 연간 640만원으로 파악됐다. 아파트 담보대출의 부채서비스는 연간 800만원으로 단독주택의 480만원보다 높았다.
주택담보대출 이용자의 평균소득은 연간 4030만원이었고, 소득 대비 대출의 적정성을 나타내는 총부채상환비율(DTI)은 평균 30.7%로 나타났다.
평균 DTI는 심각하지 않으나 이용자의 22.6%는 DTI 비율이 40%를 넘어 상환능력이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고 연구원은 지적했다.
부실채권은 잔액 대비 0.81%로 낮은 편이지만, 자치구에 따라서 격차를 보였다.
부동산 가격 불안을 겪은 용산구의 부실채권 비중이 1.6%로 서울시 평균(0.7%)의 2배가 넘었고, 노원·강서구도 1% 이상으로 높은 편이었다.
강서·용산·노원구의 지난해 5월 현재 연체율은 2.1∼2.4%로 서울시 평균(1.5%)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