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10곳 중 7곳은 시간선택제 일자리에 대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직·고객상담직·일반관리직 등에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을 고려하는 기업이 많으며 향후 정규직 전환도 검토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국내 기업 인사담당자 266명을 대상으로 '시간선택제 일자리 선호도'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번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 중 72.6%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이들 기업이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찬성하는 이유로는 △취업 소외계층(주부. 실버 계층)에게 일자리 기회가 제공되기 때문이란 의견이 32.6%로 가장 많았다. △근로자가 원하는 시간에 근무가 가능하다 26.4% △청년 실업난 해소가 기대된다 16.1% △고용이 보장되는 양질의 파트타임 일자리 창출 기대 14.0% △일과 가정의 양립 가능 8.8% 등의 의견이 있었다.
시간선택제 일자리를 반대하는 이유로는 △일자리의 질이 더 나빠질 것으로 우려된다는 응답이 37.0%로 가장 많았다.
이 외에도 △일자리의 양극화 현상 심화와 △정부정책에 따른 급조된 채용 우려가 각각 16.0%, △기업의 인력 교육비용, 시간 낭비 11.0% △최저 임금 확산의 우려 10.0% △기업의 체계적인 인력 운영이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5.0%)는 우려 등이 있었다.
한편 이번 설문에 참여한 기업 중 37.6%는 올해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채용 계획이 있는 분야로는(복수응답) △일반 경력직 분야가 응답률 58.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신입직도 53.0%로 채용 비중이 높았다. 이 외에 △경력단절 여성 40.0% △퇴직 후 실버계층 13.0% 등의 순이었다.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직무 분야로는 △서비스직 분야가 43.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고객상담직 33.0% △일반관리직 31.0% △생산직 27.0% △기획직 24.0% △판매.매장관리직과 △마케팅직이 각각 22.0% 순이었다.
시간선택제 일자리 채용을 진행하는 이유로는 △고용의 탄력성을 유지하면서 전문 인력을 사용하기 위해서란 응답이 40.0%로 가장 많았다.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정부시책에 부응하기 위해 29.0% △갑작스럽게 폭주하는 단순 반복 업무에 대처하기 위해서와 △기업의 인력 비용 절감이 각각 14.0% 등의 순이었다. 이들 시간선택제 채용 인력에 대한 향후 정규직 전환 여부에 대해서는 89%가 있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