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현대차가 '재채기'하면 한국경제는 '감기' 걸린다.
국내 전체 기업에서 삼성그룹과 현대차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이 30%를 넘어서면서 이같은 우려가 터져 나오고 있다. 두 기업에 대한 쏠림현상이 갈수록 심해져 '삼성·현대차 공화국'이란 표현이 낯설지 않을 정도다.
13일 재벌닷컴과 CEO 스코어에 따르면 삼성그룹과 현대차그룹의 영업이익 합계는 43조원에 달해 국내 전체 기업이 올린 영업이익(141조7000억원)의 무려 30.4%에 달했다.
두 그룹이 전체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이후 급상승해 2009년 19.7%(23조4000억원), 2010년 25.2%(39조2000억원), 2011년 24.6%(36조3000억원)으로 상승 흐름을 보이다가 2012년 마침내 30%를 처음으로 돌파했다.
특히 재계 순위 1위인 삼성그룹의 비중이 가장 많이 올랐다.
삼성그룹의 영업이익 비중은 2009년 13.6%(16조2000억원)에서 2012년 21.3%(30조2000억원)로 3년 새 7.7%포인트나 급등했다. 주력사인 삼성전자의 경우 2011년 7.9%에서 2012년에 13.1%로 급격히 상승했다. 단일기업으로 유일하게 전체 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두자릿수로 올라섰다.
현대차그룹의 상승세도 놀랍다.
현대차그룹의 영업이익 비중은 2009년 6.1%(7조2000억원)에서 2012년 9%(12조8000억원)를 기록해 10%대를 곧 돌파할 전망이다.
반면 두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8개 그룹의 비중은 2009년 19.6%, 2010년 18.7%, 2011년 17.1%, 2012년 12.8%로 뒷걸음질쳤다.
특히 주력사인 LG전자가 부진한 LG그룹은 2009년 6.3%였던 비중이 2012년에는 2.6%로 급락했다. 2009년 이후 10대 그룹 중에서 가장 많이 하락한 셈이다.
재계 한 관계자는 "삼성·현대차 두 그룹이 낸 2012년 법인세비용이 20.6%나 차지하고 전체 시가총액에서 두 그룹 27개 상장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무려 34.9%에 달한다"며 "두 그룹 중심의 쏠림현상이 심해질수록 경제 양극화는 물론 경제지표의 착시현상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커진다"고 지적했다.
경제부처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서울 광화문 KT사옥에서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 출범식에서 "삼성과 현대의 경제집중도를 분석하고 있다"고 말해 대응책 마련을 암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