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 주]
실적하락과 연이은 고객정보 유출로 사면초가에 빠진 카드업계. 여기에 무분별한 카드발급과 한도 부여, 고액 카드론 때문에 제2의 카드사태까지 우려
되고 있다. 연이은 악재로 위기에 빠진 카드업계를 진단하고 대책안을 모색해 본다.
[글싣는 순서]
1.가맹점 수수료 인하 등 수익원 창출 실패
2.잇따른 정보 유츨...신뢰성에 금
3.과도한 현금서비스와 대출...제2의 카드대란 우려
최근 금융가를 강타하고 있는 키워드는 바로 개인정보 유출이다. KB국민카드, 롯데카드, NH농협카드 3개 사는 최근 외주 직원이 빼돌린 1억건의 개인정보 때문에 곤혹을 치르고 있다.
카드업계의 개인정보 유출은 단지 이 세군데 회사의 문제만은 아니다. 이미 2010년 부터 삼성카드, 하나SK 카드, 현대카드 등도 정보 유출 사실이 적발됐다. 카드업계의 개인정보 유출은 경로도 다양해 개인정보에 대한 인식이 선진화 되지 못하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이번 사건의 경우 외부 용역 직원의 정보를 빼돌려 판매한 것으로 드러났지만 다른 카드사들의 정보유출 건은 대부분 내부 직원들의 소행이었다.
개인정보 유출 사건은 고객에 대한 관리 허술과 정보 유용이라는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지만 더 큰 문제는 신용으로 먹고 사는 금융사인 카드업계에 대한 믿음에 금이 갔다는 점이다. 소비자들은 신용을 파는 회사가 신뢰를 저버린 것에 대해 크게 실망하고 있다.
카드업계의 보안 경시 풍조는 당장 소비자 피해로 이어 지고 있다. 이미 정보가 유출된 카드사 회원들이 '보이스피싱, 대출강요, 신용등급 하락' 등의 문자와 전화가 최근에 집중적으로 오고 있다는 사례가 접수되고 있다.
카드사에서 유출된 정보는 본인의 성명, 휴대전화번호, 직장명, 주소 등 개인정보뿐만 아니라 카드사용 내역도 일부 포함되어 카드를 어느 마트·극장·병원·대중교통 등을 이용하는지 사생활까지 노출되어 보이스피싱, 사기대출 등 각종 범죄에 지속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사건이 발생한 후 카드사들이 대응도 구설수에 오르고 있다. 대표이사들이 나와 했던 대국민 사과는 보여주기였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금융소비자 단체에서는 "개인정보를 유출시킨 카드사들은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고 홈페이지에 게시하는 것으로 끝났고 정보유출로 불안해 하는 회원들에게 통지 등 후속조치를 하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다.
금융당국도 비난을 면치 못하고 있다. 그동안 일어났던 정보유출 사건에 대해 너무 가벼이 여기지 않았냐는 지적이다. 그 동안 금융사들의 수많은 고객정보 유출이 있었지만 금융감독원은 기관경고, 1000만원 이하의 과태료 부과, 임원 경고, 직원 견책 등 솜방망이 제재에 그쳤다.
이에 대해 금융권 일각에서는 금융당국이 고객정보 유출 시 영업정지, 과태료 상향조정 등 강력한 처벌을 하고 정보 유출로 발생하는 피해를 자발적으로 보상하도록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