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문석 방송통신위원회 상임위원이 "지상파 방송의 초고화질(UHD) 방송 조기 상용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양 위원은 14일 정부과천청사 방통위 기자실에서 '국제가전박람회(CES) 2014' 출장 관련 기자브리핑을 열고 "'CES 2014'를 참관한 뒤 느낀 것은 '위기'와 '기회'였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 언론을 보면 삼성전자와 LG전자가 UHDTV 시장에서 최고인 것처럼 보도가 됐는데 CES 현장을 방문해보니 충격적이었다"며 "일본 대표 가전사인 소니의 강한 자신감을 보면서 두렵기까지 했다"고 말했다.
양 위원은 "소니는 자체 UHDTV 개발로 수상기를 만들어내고 소니 픽처스, 소니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UHD 게임과 영화 콘텐츠 등을 제작할 수 있을뿐 아니라 방송 제작장비는 사실상 소니가 지배하고 있다"며 "수상기, 콘텐츠, 제작장비 등 세 분야 모두에서 압도하고 있다"고 거론했다.
또한 "중국은 수상기 부문에서 최저가로 경쟁할 수 있는 국가"라며 "올 연말 양산되는 50인치대 UHDTV가 1200달러 수준으로 이야기되고 있는데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가격경쟁에서 중국을 뿌리치기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양 위원은 "우리나라가 수상기 부문에서도 특별한 경쟁력을 갖추지 못했고 콘텐츠 부문은 경쟁력이 약하고, 제작장비 부문은 경쟁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며 "그나마 경쟁력을 낼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큰 것은 콘텐츠 부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와 국무조정실에 700MHz 대역 중 남은 주파수 대역을 조속히 지상파 방송용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지상파 UHD 조기 상용화를 위해 UHD 지상파 방송 표준화 작업을 조속히 추진하기 위한 논의를 즉각 실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양 위원은 "통신시장의 경우 지난해 주파수 경매를 통해 충분히 주파수가 확보됐고, 향후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가 2G용 주파수를 반납하면 이를 활용해 통신용으로 재할당할 수 있는 만큼 여유가 있는 상황"이라며 "700MHz 대역 68MHz 폭을 지상파에 할당한다면 고질적인 지상파 난시청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현재 8% 수준의 직접수신률을 30%대까지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