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폰(MVNO) 업계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15일 미래창조과학부에 따르면 알뜰폰 가입자수는 2012년 12월 말 126만7666명에서 지난해 12월 말 248만1531명으로 1년 새 두배 가량 늘어났다.
매출 역시 2012년 12월 말 1190억원에서 2013년 12월 말 2475억원으로 두 배 이상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업계에 따르면 이 같은 매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알뜰폰 업체들이 적자에 허덕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왜 가입자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같은 문제가 생기고 있는 것일까. 업계에선 알뜰폰에 가입하는 이들이 대부분 2세대(2G)나 3세대(3G) 피처폰을 선호하고 통화량도 적은 경우가 많아 수익성이 낮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실제로 알뜰폰 업계 1위 사업자인 CJ헬로비전의 '헬로모바일'을 살펴보면 LTE 가입자는 전체의 15%에 불과하다. 85%에 달하는 이용자들이 2G, 3G 가입자인 셈이다. 또한 기본요금 2만원 이하 가입자도 전체의 74%에 달했다. 결국 가입자당 평균수익(ARPU)도 2만2000원대에 머무르며, 이동통신3사에 비해 크게 낮았다.
이 같은 현상은 다른 알뜰폰 업체 역시 마찬가지다. 특히 후불 요금제 가입자가 많은 경우 어느 정도 안정된 수익구조를 가지지만 선불 요금제 가입자가 많은 알뜰폰 업체의 경우 이용자들이 늘어나더라도 오히려 이들의 이용량이 적을 경우 기간통신사업자에게만 내야하는 돈만 늘어나 적자폭이 커지는 기현상도 발생한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알뜰폰 상위 업체의 경우 후불 요금제 가입자 유치에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수익성은 낮은 상황이지만 시장이 점점 커지자 미래를 내다보고 투자하기 위해 알뜰폰 업체는 갈수록 늘어나고 있다. 알뜰폰 시장은 전체 이동통신시장의 4~5%에 불과한데 업체수는 20여개에 달하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알뜰폰 업계가 최근 잇따른 언론보도로 인해 수익을 크게 거둘 것으로 보이지만 막상 실상을 들여다보면 그렇지 못하다"면서 "다만 꾸준히 각종 방송 광고, 홍보 등을 통해 알뜰폰도 이통3사 보다 가격은 낮지만 동일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점이 알려지며 최근 수익성이 큰 LTE 가입자도 늘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가입자 급증과 ARPU도 높아지는 만큼 내년쯤 되면 흑자전환도 가능하지 않을까 전망된다"면서 "망 도매대가를 더 낮추고 단말기 공동조달 등 정부 지원이 꾸준히 이뤄진다면 가계 통신비 인하라는 정책 기조도 자연스레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재영기자 ljy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