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유휴대역이 된 700MHz 주파수 대역의 할당 문제를 놓고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지상파와 이동통신사간 갈등이 팽팽하게 이어지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2012년 말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회수한 700MHz 대역 108MHz 폭 중 68MHz 폭을 놓고 방송업계와 통신업계가 첨예한 대립중이다. 앞서 40MHz 폭은 지난해 통신용으로 이미 할당됐다. 미래부와 방통위는 700MHz의 남은 68MHz 폭 할당을 위해 공동연구반을 구성하고 논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용도 결정 일정은 잡혀있지 않은 상황이다.
당초 지난해 주파수 향방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됐으나 부처간 갈등만 빚으며 결정이 늦춰져 왔다. 미래부는 LTE 서비스로 인한 트래픽 증가에 따라 해당 주파수를 통신용으로 할당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입장이며, 방통위는 향후 UHD 방송을 위해서라도 방송용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가운데 양문석 방통위 상임위원은 지난 14일 "700MHz 대역을 조속히 지상파 방송용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로벌 방송 시장에서 초고화질(UHD) 방송이 향후 1~2년 내 대세가 될텐데 국내 UHD 방송용 콘텐츠 선점을 위해서는 지상파 방송사가 해당 주파수를 할당받아 UHD 콘텐츠 생산을 서둘러야 한다는 것.
양 위원은 "통신사업자의 경우 이미 지난해 주파수 경매를 통해 충분한 주파수 대역을 확보하면서 트래픽 문제와 관련한 이야기도 쏙 들어갔지 않느냐"면서 "우리나라에서 방송 콘텐츠의 대부분을 생산하는 지상파 방송사들이 안정적으로 UHD 콘텐츠를 생산할 수 있도록 조속히 지상파 방송사에 700MHz 대역을 할당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 같은 주장에 이통사 측은 여전히 난색을 표하고 있다. 기존 LTE 대비 2배 빠른 '광대역 LTE', 'LTE-A'에 이어 최근 3배 빠른 '광대역 LTE-A'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충분한 주파수 대역이 필요하다는 것. 아울러 광대역 LTE와 LTE-A 서비스 확대에 맞춰 고화질, 고음질의 서비스 제공이 잇따라 출시되면 그만큼 급증하는 트래픽 해소를 위해서라도 700MHz 대역은 통신용으로 할당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통사 관계자는 "공공재인 주파수 할당에 있어 가장 우선시 해야 할 것은 효율성"이라며 "수요가 많은 통신 서비스의 발전과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라도 700MHz는 통신용으로 할당돼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