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이동통신사가 탄생하면 LG유플러스와 알뜰폰이 최대 피해자가 될 것!"
정부가 2.5GHz 대역 주파수를 제4이통에 경매를 통해 할당하기로 하면서 제4이통 출범이 가시화됐다. 정부는 주파수 신청 접수를 거쳐 오는 3월 제4이통 사업자 선정 작업을 마치겠다는 계획이다.
국내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수가 5400만명인 점을 고려하면 포화된 이동통신시장에서 과연 제4이통이 탄생하더라도 살아남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목소리도 높다. 이 때문에 기존 이동통신사업자 역시 다양한 우려의 목소리를 내며 제4이통 탄생을 반기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제4통신컨소시엄(KMI)이 제4이통 사업권 획득을 위해 미래창조과학부에 허가신청서를 제출했으며, 인터넷스페이스타임(IST)도 다음달 허가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그동안 KMI는 지난 2010년 6월 처음 제4이통 사업허가 신청을 한 뒤 네차례나 승인 불허 판정을 받았다. 사업허가 불허 판정의 주된 이유는 재무 건정성 때문이었다. 이번 다섯번째 도전에서 제4이통에 도전하는 KMI와 IST는 이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노력했고, 이번엔 자신있다는 분위기다.
업계에서는 제4이통이 탄생할 경우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하고 있는 LG유플러스와 알뜰폰이 최대 피해자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때문에 기존 이통사뿐 아니라 알뜰폰 업계 역시 제4이통의 탄생을 환영하지 않는 분위기다.
특히 지난해부터 정부의 전폭적 지원을 받고 있는 알뜰폰 업계는 혹여 제4이통 탄생 시 정부의 정책적 지원 방향이 바뀌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LG유플러스의 경우 이통3사 중 차별화된 서비스보다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를 본다는 이미지가 강해 보다 값 싼 제4이통이 등장한다면 가입자를 빼앗길 가능성이 가장 크다"며 "알뜰폰의 경우 정부의 지원 속에 이제 커지려고 하는 상황에서 제4이통의 탄생은 반갑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미래부가 제4이통 주파수 경매를 위한 최저 경매가를 두고서도 예비사업자들의 반발이 큰 상황인데 재무적인 부분이 충분히 갖춰졌는지도 아직 의문"이라며 "정부는 다양한 목소리를 듣고 정확한 평가 속에 제4이통에 대한 결정을 내려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재영기자 ljy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