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국방위원회는 지난 16일 발표한 국방위의 중대제안이 위장평화공세와 선전심리전이 아니라고 밝혔다.
국방위는 24일 '북남관계 개선의 활로를 열어나가는데 한사람 같이 떨쳐나서자'라는 제목의 김정은 제1비서의 특명에 따른 '남조선 당국과 여러 정당, 사회단체, 각계층 인민에게 보내는 공개서한'을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공개서한은 "우리는 이미 일방적으로 상대방에 대한 자극이나 비방중상을 전면중지하는 길에 들어섰다"며 "우리의 중대제안은 결코 그 무슨 새로운 '도발'을 전제로 한 구실이나 마련하고 국제사회의 삐뚤어진 여론이나 바로잡기 위해 내놓은 명분 쌓기는 더욱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군사훈련 중지 요구와 관련, "우리의 주장은 외세와 야합해 동족을 겨냥하고 벌이는 침략전쟁연습을 중지하라는 것"이라며 "그 연습마저 하고 싶다면 우리나라 영토나 영해, 영공을 벗어난 한적한 곳이나 미국에 건너가 하라고 했다"고 전했다.
핵무기 개발에 대해 "미국의 핵위협과 공갈로부터 나라와 민족을 지키기 위한 민족공동의 보검이지 동족을 해치기 위한 수단은 아니다"라며 "병진노선 역시 미국이 강요하는 핵참화로부터 나라의 평화를 지키기 위한 자위적 선택"이라면서 기존의 주장을 되풀이했다.
공개서한은 "화해와 단합의 분위기를 조성하고 군사적 적대행위를 전면중지하는 것과 함께 흩어진 가족, 친척들의 상봉 분위기도 마련하고 금강산 관광도 재개하며 여러 가지 북남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하자는 것이 우리의 결심"이라고 전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16일 '남조선 당국에 보내는 중대제안'에서 ▲1월30일부터 상호 비방중상 행위 중지 ▲상호 군사적 적대행위 전면중지 ▲핵재난 막기 위한 상호조치 등을 제안하고 "실천적인 행동을 먼저 보여주게 될 것"이라고 밝혔고, 정부는 다음날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라"라고 요구하면서 북한의 '중대제안'을 거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