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지난해 영업이익 2조11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16.2% 증가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연간 총 매출액은 16조6021억원, 연간순이익은 1조6096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2.9%, 44.3% 증가했다.
지난해 영업이익 증가는 '착한 기변', '데이터 리필하기' 등 장기가입자 혜택 강화로 해지율이 꾸준히 감소하면서 수익성이 개선된 결과라고 SK텔레콤 측은 설명했다.
매출 역시 '음성 무제한 요금제(T끼리 요금제)' 국내 첫 출시를 비롯해 연중 계속된 고객 요금 부담 경감 노력으로 수익감소 요인이 컸지만 LTE 리더십 강화와 B2B 솔루션 등 신규 사업 성장에 힘입어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LTE 리더십 강화에 힘입어 SK텔레콤의 LTE 가입자는 지난해 말 기준 약 1350만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약 50%까지 늘었다. B2B 솔루션 사업 매출도 전년 대비 60% 증가한 4340억원으로 확고한 중기 성장 모멘텀으로 자리잡았다.
SK텔레콤의 지난해 평균 해지율은 2.3%로 전년(2.6%) 대비 0.3%포인트 감소했다. 특히 지난 4분기 해지율은 2.1%로 매 분기 지속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순이익은 SK하이닉스 등 투자회사의 실적 호조에 힘입어 전년 대비 크게 늘었다. SK하이닉스의 사상 최대 실적 달성에 따른 지분법 평가익은 약 6000억원이었다.
SK텔레콤은 올해 데이터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MNO 사업의 혁신과 신규 사업 성장을 지속함으로써 차별화된 고객가치 극대화를 이어가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 하반기 예정된 광대역 LTE-A 상용화와 3밴드 LTE 등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 진화를 통해 네트워크 품질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또한 상품·서비스 영역을 더욱 확대해 ▲새로운 통화경험을 제공하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스마트 라이프를 실현하는 홈 서비스 ▲유무선을 넘나드는 고품질의 미디어 서비스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스미싱과 해킹에서 자유로운 보안 서비스 등 5개 핵심영역에서 20개 이상의 전략 상품을 출시키로 했다. 실제로 SK텔레콤은 지난 23일 새로운 개념의 전화 플랫폼 'T전화'와 홈 허브 기기 'B 박스' 등을 선보이며 상품·서비스 혁신의 시작을 알렸다.
SK텔레콤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육성중인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융합사업도 올해 성장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특히 B2B 솔루션 사업영역은 클라우드와 빅데이터를 결합해 경쟁력을 강화함과 동시에 기업 생산성 향상을 지원하는 '스마트 워크'와 에너지 절감 효율을 높이는 '그린 솔루션' 사업을 중심으로 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황수철 SK텔레콤 재무관리실장은 "2013년은 경쟁 패러다임을 상품·서비스 중심으로 전환하고 성장사업의 근간을 마련한 의미있는 한 해였다"며 "2014년에도 차별화된 네트워크 경쟁력과 고객가치 지향의 특화된 서비스로 데이터 시대를 선도해 확고한 리더십을 지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SK텔레콤의 지난해 4분기 매출은 4조294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3%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509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4% 감소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 역시 293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4% 줄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