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총리가 과거사와 관련, 역대 내각의 인식을 계승한다는 뜻을 밝히고 의도적으로 일본의 식민지배와 침략을 인정한 부분을 제외해 발언해 논란이 예상된다.
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지난달 31일 열린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역사 인식에 관해 "일본은 일찍이 많은 나라, 특히 아시아 국가의 국민에게 많은 손해와 고통을 안겨줬다. 그런 인식에 대해 아베 내각도 마찬가지며 그간의 역대 내각의 방침을 계속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는 총리가 식민지배와 침략을 포함해서 무라야마 담화를 인정하는지 명확하지 않다고 의심하는 이들이 있어, 확실히 하는 것이 좋다고 본다는 민주당 오카다 가쓰야 의원의 질의에 이렇게 답했다.
그러나 아베 총리의 답변은 식민지배와 침략전쟁의 책임을 인정하고 사죄한 무라야먀 담화에서 '식민지배와 침략으로'라는 대목을 뺐다. 아베 총리는 답변 말미에 "침략이나 식민지배를 부인한 적은 한 번도 없다"면서도 "역사 인식은 역사가에게 맡겨야 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오카다 의원은 아베 총리가 식민지배와 침략을 부정하지 않는다면서도 무라야마 담화에서 이 부분을 빼고 말하는 것이 이와 다른 뜻을 지녔다는 의심을 낳는다고 지적하고 제대로 밝혀 달라고 다시 요청했다.
이에 대해 아베 총리는 "식민지배나 침략을 부인한 적은 없다"며 입장에 변화가 없었다.
오카다 의원은 총리가 식민지배와 침략에 관한 부분을 의도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는 것에 유감을 표명하고 관련 내용을 계속 질의했지만, 아베 총리는 역시 두 번에 걸쳐 같은 답변을 반복했다.
아베 총리는 민주당 정권 시절인 2010년 광복절을 앞두고 간 나오토 일본 총리가 한국에 대한 사죄의 뜻을 발표한 한일 강제병합 100년 담화(간 나오토 담화)와 관련해 우회적으로 불만을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간 내각에서 간 담화를 냈다. 하지만 민주당 정권하에서 한국 대통령이 '다케시마'(독도)에 상륙한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며 "이런 과제가 있기 때문에 나는 양국 수뇌가 흉금을 열고 얘기를 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한국 측에서도 꼭 그런 자세를 취해주면 좋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