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연휴 마지막 날인 2일 일본발 방사능 및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소비자 우려가 설 선물세트 매출에도 그대로 반영됐다. 하지만 백화점 정육 선물세트 매출이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전체 매출에 큰 비중을 차지했다.
2일 대형유통업계에 따르면 설 연휴 전 선물세트 매출 판매 집계 결과 수산물 세트는 소폭 증가한 반면 과일이나 정육 세트의 매출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롯데백화점의 경우 지난달 13일부터 30일까지 진행된 설 선물세트 본판매 실적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보다 매출이 12.8% 늘었다.
상품군 별 매출은 정육·갈비 16.0%·청과 13.0%·주류 10.3%·건강식품 9.2% 늘면서 증가세를 이끌었던 반면 수산물 세트는 3.0% 성장에 그쳤다.
황우연 롯데백화점 식품MD팀장은 "지난해부터 이어지는 저성장 시장환경임에도 10만원대의 중저가 선물세트 뿐만 아니라 수산 선물세트의 대체 상품으로 한우·과일 선물세트 매출이 큰 폭으로 신장했다"고 말했다.
현대백화점의 경우도 지난해 12월 23일부터 진행한 설 선물판매 실적이 전년대비 12.2% 증가했다. 정육 매출은 전년대비 23.1% 큰폭으로 신장했고 수산물 8.3%·청과물7.8%로 소폭 증가했다.
신현구 현대백화점 생식품팀장은 "실속형 세트와 함께 프리미엄 선물세트의 약진이 두드러졌다"며 "일본발 방사능 논란과 최근 발생한 AI 영향으로 한우 매출이 큰 폭으로 늘어나 지난 5년간 선물세트 판매 매출 신장률 중 최고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대형마트의 경우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마트는 지난해 12월 26일부터 지난달 28일까지 설 선물세트 판매 실적이 작년 설 때보다 2.1% 신장했지만 매출의 대부분은 청과물과 정육이 차지했다.
20% 가량 가격이 떨어진 배 선물세트 판매가 33.6% 늘면서 선물세트 1위에 올랐고 굴비와 선어는 각각 12% ·18% 감소해 매출이 큰 폭으로 줄었다.
홈플러스의 경우도 지난달 16일부터 31일까지의 설 선물세트 매출이 3.5% 늘었다.
정육 매출은 9.4%·농산물 선물 매출은 25.8% 등 큰 폭으로 늘어난 반면 멸치·김 등 수산물 세트 판매는 1.4% 소폭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