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반성하지 않는 민족은 결국 멸망한다.'
인류역사가 주는 엄중한 교훈도 모르는 듯 일본 정부가 역사왜곡 움직임을 갈수록 노골화하고 있다. 미국 버지니아주 의회의 동해병기법 통과를 저지하기 위해 주미 일본대사관이 직접 '마피아식' 협박에 조직적 로비까지 벌이는가 하면 일본 보수언론들은 프랑스에서 열린 일본군위안부 관련 전시회를 일제히 맹비난하고 나서 국제사회의 빈축을 사고 있다. 이에 맞서 우리정부는 국제공조를 통해 전쟁을 뉘우치지 않는 아베정권의 역사인식을 부각시키는 강공전략으로 역사의 무서운 교훈을 일본 스스로 뼈저리게 느끼게 할 계획이다.
◆동해병기 막기위해 대형로펌 계약
2일 미국 법무부의 FARA(외국로비공개법)에 의해 공개된 주미 일본대사관과 워싱턴 대형로펌인 맥과이어우즈 컨설팅 사이의 석 달간 7만5000달러(약 8000만 원)의 용역계약서 문건을 통해 그동안 설로만 무성하던 주미 일본대사관의 동해병기법 저지 로비의 실체가 드러났다. 지난해 12월 19일 주미 일본대사관의 미즈코시 히데아키 공사와 맥과이어우즈 부사장이 서명한 이 문건에는 버지니아주 의회에 상정된 동해병기법안 통과를 막기 위한 대응 방향과 '저인망식 로비' 전략의 전모가 상세히 담겨있다. 특히 지난해 12월 당시 당선인 신분이었던 테리 매콜리프 버지니아 주지사를 집중 로비대상으로 삼은 사실도 드러났다. 실제로 사사에 겐이치로 주미 일본대사는 지난해 12월 26일 매콜리프 주지사에게 협박성 서한을 보내고 지난달 22일에는 직접 면담도 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도 왜곡된 역사인식을 버리지 않고 있다. 지난달 31일 열린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과거사에 관해 역대 내각의 인식을 계승한다는 뜻을 밝히면서 의도적으로 일본의 식민지배와 침략을 인정한 부분을 제외하고 발언했다. 이는 '일본이 식민지배와 침략전쟁을 하지 않았다'는 인식을 간접적으로 드러낸 것으로 분석된다.
역사의 교훈을 깨닫지 못하는 것은 일본 보수언론들도 마찬가지다.
1일 산케이신문은 '2014 프랑스 앙굴렘국제만화페스티벌'에 일본군 위안부의 피해 실상을 알리는 만화는 전시되고 이에 맞선 일본 측 만화가 철거당한 것에 대해 "문화행사여야 하는데 주최 측이 한국을 우대하는 정치색을 반영한 것이 됐다"고 맹비난했다. 이보다 앞서 지난달 25일에는 모미이 가쓰토 NHK 신임 회장이 "전쟁을 했던 어떤 나라에도 위안부는 있었다"는 망언을 해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기도 했다.
◆'역사 프레임' 전략으로 맞서
그동안 적극적인 대응을 자제하던 우리 정부도 일본의 역사인식 전체를 문제 삼는 '역사 프레임' 전략으로 맞대응하기로 했다.
지난달 30일 제 1차 세계 대전 100주년을 맞아 '전쟁의 교훈과 영구 평화 모색'이라는 주제로 열린 유엔 안보리 공개토론에서 오준 유엔주재 대사는 일본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와 교과서 왜곡, 군 위안부 강제 동원 부정 등 일본의 잘못된 역사 인식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또 이달 초엔 외교부가 만든 독도 동영상 영어판을 공개하고 중국 등 일제 피해국들이 함께 '일본 제국주의 침탈 만행사'에 대한 국제공동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한 외교문제 전문가는 "평화를 들먹이면서 군사대국화를 꿈꾸고 관계 개선을 얘기하면서 주변국을 자극하는 일본에 반성만 요구하는 건 더 이상 무리"라며 "국제사회와 공조를 통해 실질적이고 실효적인 조치를 강구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