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4일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감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현재 전체 여신 29조1000억원 가운데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액수는 6조3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저축은행의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비율은 21.8%를 기록했다.
이 비율은 2010년 6월 말 10.6%에서 대규모 구조조정으로 2011년 19.4%로 뛰고서 2012년 20.5%로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구조조정 후 총 여신규모가 줄고 엄격한 자산건전성 분류가 적용되는 등 부실채권 비율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저축은행 부실채권 감축을 위해 일반 채권과 프로젝트파이낸싱(PF) 채권을 구분해 지난해 12월 말 기준으로 반기별 목표 비율을 세웠다.
일반 부실채권의 경우 부실비율 20% 이상인 저축은행은 매 반기 5%포인트 이상씩 감축해 원칙적으로 15%~20%선까지 낮춰야 한다.
부실비율 10%~20%인 저축은행은 최소 10%까지 감축해야 한다.
부실비율이 10% 이하더라도 중도에 감축기준 초과가 발생한 곳 역시 감축 추진 대상에 포함된다.
저축은행들은 반기별 이행 실적과 미이행 시 사유 및 대책을 저축은행중앙회를 통해 금감원에 제출하게 된다.
감축 이행기간은 부실채권 비율에 따라 올해 말에서 오는 2016년 말까지 차등화한다.
PF 부실채권은 2016년 말까지 영업구역 내 의무여신비율 위반 여부와 PF대출 만기 등을 고려해 저축은행이 자체적으로 반기별 목표비율을 설정하게 된다.
매 반기 추정손실분을 나눠 전액 대손상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저축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은 다른 금융업종(평균 2.2%)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금융투자가 6.6%로 가장 높고 신협 5.2%, 여전 2.5%, 은행 1.8%, 보험 0.7% 순이다.
업권별 저신용층 개인대출 비중에서 저축은행이 차지하는 비중도 대부업(79.9%) 다음으로 높다.
저축은행의 저신용층 개인대출 비중은 62.3%로 전체 업권 평균 11.9%의 5배를 넘었고 여전(23.9%), 상호금융(18.9%)의 3배 안팎이다.
기업대출이 5조3000억원(27.5%)으로 개인대출(1조원·10.6%)보다 많았다.
기업대출 가운데 PF 대출 관련이 1조4000억원(63.9%)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부실채권 비율이 최저 3.6%에서 최고 66.2%로 최대 18배 차이나는 등 개별 저축은행에 따라 편차가 심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중앙회 내 부실채권 감축 협의체를 구성해 업계 공동으로 추진해나갈 예정"이라며 "저축은행이 부실 금융사 이미지를 탈피해 내실 있는 경영기반을 확보할 수 있을 전망"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