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타운의 우수 아이디어 사업화를 위해 중소기업청, 특허청, 산업통상자원부 등 12개 부처가 62개 사업을 유기적으로 연계해 선별된 아이디어 우선 지원에 나선다.
이를 위해 성숙하지 못한 우수 아이디어에 대해서는 미래창조과학부 산업부 등 연구개발서비스업, 비즈니스 아이디어(BI) 지원기관 등을 통해 타당성 분석, 비즈니스 모델(BM) 기획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무한상상실·창업공작소(미래부), 시제품 제작터(중기청), 콘텐츠코리아 랩(미래부·문화체육관광부) 등을 통해 실물모형 제작 등을 지원하고 창작활동 등을 인프라도 지원할 계획이다.
숙성된 아이디어에 대해서는 기술개발과 자금이 지원된다. 창업기업 및 1인 창조기업, 기업의 BM을 위한 기술개발, 소프트웨어(SW)분야, 기초·원천연구 성과활용 등에 해당될 경우 각 부처 지원사업의 특성에 따라 기술개발 지원 시 우대할 예정이다.
또한 창업을 앞둔 아이디어 제안자에게 필요한 자금의 원활한 지원을 도모하고 펀드, 금융기관 등 관계자가 아이디어설명회에 참가해 우수 아이디어를 선별, 투자할 수 있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창조경제타운을 통한 우수 아이디어가 제품으로 생산돼 마케팅 지원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품 홍보지원 대상 선정 시 우대할 예정이다.
아울러 각 부처 공모전과 아이디어 캠프 및 대학 등에서 창출된 우수 아이디어와 우수 결과물을 창조경제타운에 등록해 발전·사업화 시킬 수 있도록 연계한다. 창업교육을 희망하는 우수 아이디어 제안자에게는 각 부처의 창업 교육을 위한 교육생 선발 시 우대하고 오프라인 멘토링을 희망하는 우수 아이디어 제안자에게는 각 부처의 지원공간을 통해 오프라인 멘토링과 컨설팅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한편 정부는 '제6차 창조경제위원회'를 개최해 12개 부처합동으로 마련한 '창조경제타운 범부처사업 연계방안'을 확정했으며, 대상사업별로 연계지원계획과 실적 등을 지속 점검하는 한편, 이달 중 관계부처와 공공 및 민간의 사업지원기관 관계자가 참석하는 워크숍을 개최해 구체적인 실행전략 논의에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