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비무장지대(DMZ) 세계평화공원의 연내 사업 착수를 목표로, 적절한 시기에 이를 북한에 제안하기로 했다.
통일부는 6일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2014년 업무계획' 보고에서 올해 북한과 DMZ 평화공원 건립 합의 도출 및 사업 착수를 목표로 체계적인 사전 준비를 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본격적인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추진을 위해 북한은 물론 주변국과의 협력을 적극 추진해 나갈 계획으로 "나진-하산 물류 사업을 위한 안정적인 지원 방안을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일환으로 추진되는 나진-하산 프로젝트는 러시아 극동의 국경역 하산과 북한 나진항을 잇는 54km 구간 철로 개보수와 나진항 현대화 작업, 복합 물류 사업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 참여해 부산∼나진∼러시아로 이어지는 남·북·러 물류 활성화 방안을 강구하겠다는 방침이다.
통일부는 "남북관계의 획기적 개선 등 여건이 마련되면 실크로드익스프레스(SRX) 실현을 위한 북한 철도 개보수 및 한반도종단철도(TKR)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중국횡단철도(TCR) 연결도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개성공단 제도개선 등을 통해 국제화 여건을 조성하고, 남북관계 진전에 따라 '호혜적인 경제협력' 추진도 검토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같은 정책은 북핵 불용 원칙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북한의 비핵화 진전과 남북관계 발전을 균형 있게 추진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통일부의 이번 업무보고가 남북관계 개선에 관한 내용이 주요 부분을 차지하면서 올해 정부의 대북 기조가 변화하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