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스포츠>스포츠종합

[소치특집]김연아 vs 김연아 마지막 승부



4년 전 밴쿠버올림픽에서 우리나라는 전통 강세종목이었던 쇼트트랙을 비롯해 새로운 기대종목으로 떠오른 스피드스케이팅, 그리고 '피겨여왕' 김연아의 활약이 돋보였던 피겨스케이팅에서 메달을 따내는 쾌거를 이뤘다.

◆ 경쟁상대는 '김연아 자신'

김연아는 지난달 5일 끝난 국내 대회에서 올림픽 최종 리허설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부상을 털고 화려한 복귀전을 치룬셈이다.

김연아는 전국남녀 피겨종합선수권대회에서 227.86점의 고득점을 받았다. 국내 대회라 비공인으로 남았지만 밴쿠버올림픽에서 자신이 세운 역대 최고점(228.56점)에 불과 0.7점 뒤진 기록이다.

특히 쇼트프로그램에서는 실수 하나 없이 완벽한 연기로 비공인 역대 최고점(80.60점)을 세웠다. 밴쿠버올림픽 때 받았던 78.50점을 넘어섰다. 비교적 후한 점수를 주는 국내 대회인 점을 감안해도 전성기 기량을 되찾았다는 평가다.

다만 프리스케이팅에서 더블 악셀 등 점프 실수가 있었다. 그러나 김연아는 "체력적인 문제보다 더 잘하려고 하다 보니 나온 실수"라면서 "올림픽까지 충분히 보완할 수 있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그러나 소치에는 김연아를 넘어설 경쟁자가 눈에 띄지 않는다. 일본 아사다 마오는 최근 자국 대회에서 200점을 밑도는 부진을 보였다. 주특기 트리플 악셀도 성공률이 현저하게 낮아 김연아에 밀려 은메달에 머문 밴쿠버올림픽에 대한 설욕이 요원한 상황이다. 오히려 홈 어드밴티지를 얻게 될 러시아 유망주들을 더 경계해야 할 모양새다.

김연아는 올림픽 2연패에 연연하기보다는 이번 대회를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하는 만큼 유종의 미를 거두겠다는 각오다. 결국 소치의 경쟁상대는 바로 김연아 자신이다.

◆ 김연아 국제대회 주요 성적

▲2005~2006시즌 ISU 주니어그랑프리 파이널 우승(174.12점) ▲2006 세계주니어피겨선수권 우승(177.54점) ▲2006~2007시즌 ISU 그랑프리 파이널 우승(184.20점) ▲2007 세계 피겨선수권 3위(186.14점) ▲2007~2008시즌 ISU 그랑프리 파이널 우승(196.83점) ▲2008 세계 피겨선수권 3위(183.23점) ▲2008~2009시즌 ISU 그랑프리 파이널 2위(186.35점) ▲2009~2010시즌 ISU 그랑프리 파이널 우승 ▲2009세계피겨선수권 우승(207.71점) ▲2009 4대륙선수권 우승(189.07점) ▲2010밴쿠버동계올림픽 금메달(228.56점) ▲2010세계피겨선수권 2위(190.79점) ▲2011세계피겨선수권 2위(194.50점) ▲2013세계피겨선수권 우승(218.31점)

◆ 다음은 김연아와의 일문일답

-올림픽에 출전하는 각오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올림픽이 3~4개월 남았다고 생각했는데 벌써 눈 앞으로 다가왔다. 그동안 준비해온 것과 보완할 것을 잘 체크하겠다. 마지막 대회가 올림픽이라는 큰 무대인데 매 시합을 베스트 컨디션으로 임하는 만큼 이번에도 같은 생각으로 준비하겠다. 많은 분들이 금메달과 2연패가 유력하다고 하는데 개인적으로는 전혀 중점을 두지 않고 있다. 어떤 결과를 얻든 만족할 수 있을 것이다.

-남은 기간 특별한 훈련 계획은.

올림픽이라고 특별한 점은 없다. 그랑프리나 세계선수권도 중요한 대회다. 항상 최선을 다했기 때문에 똑같이 할 것이다. 앞서 두 개의 대회를 통해 부족한 점을 찾았다. 그 부분을 더 완벽하게 하도록 체크하고 훈련하겠다.

-클린 연기에 대한 자신감은 어느 정도인가.

연습하면서 클린을 많이 했다. 자신감은 있는데 실전에서는 긴장도 되고 매번 잘 할 수만은 없다. 그래도 두 대회를 통해 자신감을 많이 얻었다. 좀 더 완벽하게 할 수 있도록 열심히 준비하고 있다.

-현지 훈련 계획은.

시차가 있지만 다른 대회도 다 해외에서 하기 때문에 크게 걱정은 안한다. 올림픽은 좀 더 큰 대회라 조금 일찍 준비할 계획이다.

-밴쿠버올림픽 전과 지금 심정을 비교한다면?

밴쿠버 때도 실감이 나지 않았다. 원래 현장에 가야 긴장하는 스타일이다. 소치에 가면 진짜 올림픽이 시작됐다는 느낌이 들 것 같다. 이번이 정말 마지막 대회라는 점이 달라졌다. 다만 밴쿠버 때만큼 부담은 없다. 마음 편하게 할 수 있을 것 같다.

-마지막 연기를 한 단어로 표현한다면?

팬들은 특별하게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마지막이라는 단어 밖에 떠오르지 않는다. 홀가분한 마무리를 기대한다.

-올림픽이 끝나면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인가.

선수를 하다보면 제한적인 게 많다. 모든 일상이 운동에 집중돼 먹는 것부터 모든 걸 신경 써야 한다. 그런 것들이 스트레스인데 막상 시간이 주어져도 선수생활을 오래해서 어떤 것부터 해야 할지 모르겠다. 일단 시합에 대한 걱정 없이 일상 생활을 할 수 있다는 마음만으로도 시원할 것 같다.

-쇼트와 프리 구성을 바꿨는데.

쇼트 프로그램은 괜찮은데 프리는 하다 보니 탱고라는 장르가 동작에 힘이 많이 들어가 체력 소모가 많다. 아무래도 몇 년 전보다는 체력이 부담된다. 처음 프로그램을 완성하고 적응하는 게 힘들었는데 이제는 많이 익숙해졌다.

-메달이나 우승을 떠나 꼭 이루고 싶은 목표.

매 경기마다 그렇듯이 클린 연기가 목표다. 꼭 클린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진 않는다. 너무 실수를 많이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올림픽에서 주목하고 있는 선수가 있다면.

같이 출전하는 김해진·박소연이다. 올림픽을 치르면 시니어 무대에서 심판들에게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다. 내가 은퇴하더라도 한국에 이런 선수들이 있다는 점을 알릴 수 있도록 많은 경험을 쌓았으면 좋겠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