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5060세대는 70세가 넘어도 지속적인 경제활동을 바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보생명은 만20세 이상 69세 이하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실시한 시니어 트렌드 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희망하는 은퇴 나이는 50대가 70세, 60대는 71세로 나타나 2040세대의 은퇴 희망나이 64세와 대조적인 결과를 보였다.
5060세대는 3040세대보다 '심리적 나이'에서 더 젊다고 생각했다.
자신이 느끼는 심리적 나이에 대해 50대는 6세, 60대는 10세 가량 실제 나이보다 적다고 응답했다.
30대가 1세, 40대는 4세 더 어리다고 답한것과 상당한 대조를 보였다.
나이가 들수록 장수에 대한 기대도 더 크게 나타났다.
'언제까지 살고 싶은가'라는 질문에 5060세대 절반 가량이 90세 이상 살고 싶다고 답했다.
반면 40대 이하 응답자의 기대수명은 80대 초반에 머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교보생명은 "우리나라 5060세대는 실제 나이보다 자신을 젊게 생각하고 나이가 들어도 자신의 능력을 계속해서 발휘하고 싶어한다"며 "하지만 사회적 제도와 인식 등이 뒷받침되지 않아 이들이 능력을 펼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전했다.
5060세대가 장수를 희망한다면 그만한 노후준비가 돼 있어야한다.
조사 결과 '소득 중단 시 저축액으로 생활할 수 있는 기간'은 50대가 평균 26개월, 60대는 34개월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50대 응답자의 60.4%, 60대의 54.8%가 현재 저축액으로는 2년도 채 생활하기 힘든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실제 5060세대는 은퇴를 눈앞에 둔 시점에서 노후 준비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노후준비를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37.8%가 '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했다. 본격적인 노후준비는 58세 이후에나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