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A씨는 학자금 대출을 받아 자신에게 맡기면 장학금을 주고 원리금까지 보장된다는 말에 자신의 신분증, 공인인증서, 보안카드를 사기범에게 넘겼다.
사기범은 이를 이용해 저축은행에서 A씨의 명의로 대출을 받아 가로챘다. 이런 수법으로 지난 2012년 5월부터 7월까지 사기를 당한 대학생은 40여명, 피해금액만 약 6억원에 달한다.
1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처럼 최근 대학생을 대상으로한 금융사기가 극성을 부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사기범들은 대학생들이 금융지식이 부족하고 사회경험이 없다는 점을 이용한다. 또 이들은 저축은행 등에서는 소액 신용대출 심사가 허술하다는 것도 잘 알고 있다. 여기에 경기 불황과 취업난이 겹쳐 어려운 경제여건에 처한 대학생들은 금융 사기범들의 범죄에 쉽게 노출되고 있다.
사기범들의 주요 사기유형은 장학금 및 정부지원금을 지급한다고 속여 신분증, 공인인증서, 보안카드 등을 받아낸 뒤 저축은행 등에서 대출을 받고 달아나는 것이다. 또한 다단계 업체들은 취업을 미끼로 대학생들에게 접근해 직접 대출을 하도록 강요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있지도 않은 증권선물투자회사가 인터넷 취업싸이트에 구직 광고를 내 청년 구직자를 대상으로 증권선물계좌를 개설하게 한 사례도 있다. 일정금액을 입금하면 높은 수당을 지급하겠다고 유혹한 뒤 저축은행 등에서 대출을 받도록 유도했다. 계좌로 입금한 대출금은 그대로 사기 업체가 가로채갔다.
금감원은 연초 대학 등록금 납입기간 중 자금 마련이 어려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금융사기가 빈번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어떠한 경우라도 대출을 받으라는 요구에 응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특히 신분증, 공인인증서, 보안카드 등은 절대로 제공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또 취업을 미끼로 물품을 강매하거나 대출을 강요하는 경우도 각별히 유의하고 고소득 약속에 현혹되지 않고 불필요한 대출계약서 작성을 요구 받을 때는 즉시 거절해야한다고 덧붙였다.
일단 직접 금융회사에서 대출을 받으면 본인이 상환책임을 져야하고 피해구제도 어렵다. 대출사기를 당하지 않도록 처음부터 주의하는 한편, 금융 대출사기가 의심되면 경찰서에 신고하거나 금감원 금융소비자보호처로 문의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