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중소협력사와 상생경영을 지속 추진하고 20여개 장비 국산화를 통해 국내시장 확대와 해외시장에 공동 진출하는 '동반성장 2014'를 추진한다고 13일 밝혔다.
이번에 LG유플러스가 추진하는 '동반성장 2014'에는 ▲국산장비 시장 확대와 해외시장 공동진출 ▲영업대리점 200억원 지원 ▲중소협력사 100% 현금 지급 ▲협력사에 대한 보호장치 마련 ▲협력사 소통 및 편의개선 등이 담겼다.
우선 LG유플러스는 올해 테라급 L3 스위치, 공공 무선 접속(CPRI) 수용 중계기 등을 포함한 총 20여개의 장비를 중소협력사와 함께 국산화해 2000억원 규모의 국내시장 창출을 목표로 했다. 또한 그룹사 및 해외 제휴사업자들을 통해 해외시장에 진출하는 일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이미 중소협력사가 장비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서울 상암, 독산, 안양, 대전에 있는 기술개발센터를 개방했으며 지난해 12월에는 삼지전자와 에어텍시스템에 개발비를 지원해 화웨이의 CPRI 규격 수용이 가능한 무선 중계기 장비 개발에 착수했다.
또한 IPTV 트래픽 증가로 인한 집선 L3 스위치 용량 부족을 해결하기 국산 10G급 대용량 L3 스위치를 다산네트웍스, 유비쿼스와 2년간 공동 개발해 지난해 12월 테스트를 끝냈으며 지난달 1차 물량으로 50억원을 구매했다. 이 장비를 통해 신규 창출되는 국산화 시장은 5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기존 구매 협력사에 머무르던 동반성장 정책도 영업대리점까지 확대한다.
LG유플러스는 영업대리점과의 상생을 위해 200억원을 지원하고 채권상계 유예기간을 기존 3개월에서 6개월로 확대하기로 했다. 지난해부턴 모든 중소협력사에 대한 어음 발행을 100% 현금 지급하고 대금지급 기일도 10일 이내로 단축시켰으며 설, 추석 등에는 결제대금을 조기 집행함으로써 협력업체들의 현금 유동성 확보 등 재무적인 측면에서 기여하고 있다.
아울러 협력업체들이 저금리로 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기업은행과 연계해 조성한 상생협력펀드 500억원은 90% 이상이 실제 사용되고 있는 등 중소기업 육성에도 나서고 있다.
이밖에 무선 네트워크 공사 시 덤핑 입찰을 방지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시공 평가를 통한 물량 배분으로 기본 매출을 보장하며, 지역 담당 별 경쟁 입찰 시행으로 공사 참여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중소협력사를 대상으로 하는 분야별 기술교육도 확대하고 양자간 기술엔지니어 교류·협력도 확대한다. 중소협력사와의 기술워크샵은 연 1회에서 연 2회로 확대 운영하는 한편, 기술세미나를 수시 개최해 네트워크 기술발전의 방향과 관련정보를 공유할 방침이다.
LG유플러스는 이번 '동반성장 2014' 실행으로 연간 1조2000억원을 현금결제로 지원하고, 협력사는 2000억원 규모의 신규 시장을 창출해 10~30%의 매출 개선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진철 LG유플러스 동반성장·구매담당 상무는 "'동반성장 2014'를 통해 중소협력사와의 동반성장과 상생경영의 모범사례를 선도적으로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