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IT카페] 아프리카TV 먹방BJ 더디바 인터뷰 "글로벌 먹방女"

아프리카TV 인기 먹방BJ '더디바' 박서연씨가 치킨 두 마리와 해물찜을 시켜놓고 아프리카TV에서 먹방 시작을 알리고 있다. 박씨는 방송 진행 동안 모든 메뉴를 깨끗이 비운다.





전세계의 군침이 우리나라의 '먹는 방송(먹방)'에 쏠렸다.

지난달 30일 미국 CNN이 '한국의 온라인 문화 트렌드:귀여운 소녀의 먹는 모습을 돈 내며 보기'를 보도한 것이다. 연예인의 먹방뿐 아니라 일반인이 인터넷 먹방을 진행하면서 억대의 수익을 올린다는 설명도 곁들여졌다.

CNN이 '귀여운 소녀'로 소개한 인터넷 방송 아프리카TV의 인기 먹방BJ 박서연(34·방송명 더디바)씨를 만났다.

방송 3년차인 그녀의 먹방 누적 시청자 수는 5817만여 명. 일일 시청자 1만 여명. 하루 2시간 정도 진행되는 방송 시간도 어느새 누적 1만 시간을 넘겼다. 매일 저녁 치킨 4마리, 대하 111마리 등의 수천 칼로리를 섭취하지만 그녀의 체중은 키 170cm에 53kg. 마른 체구에서 나오는 털털한 대식(大食) 방송으로 박씨는 지난해 연말 열린 '아프리카TV 2013 방송 대상'에서 먹방 부문 초대 최우수 BJ에 선발됐다.

박씨의 먹방 인기는 국내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CNN 전파를 탄 뒤로 러시아, 아랍 등지에서도 인터뷰 문의가 올 정도다. 호기심에 시작한 먹방은 먹는 것을 좋아하는 평범한 직장인 박씨를 세계적인 유명 인사로 만들었다.

박씨는 "해외에서는 남의 식사 모습을 돈을 주면서까지 보는 먹방 문화를 신기해한다"면서 "일반인도 방송 진행자가 될 수 있는 우리나라의 1인 미디어 환경도 큰 관심을 얻는 중"이라고 말했다.

박서연씨가 대게와 치킨을 먹으며 방송을 진행하는 모습.





먹방의 인기 요인은 소통에 대한 갈증 해소와 대리만족 기능으로 요약할 수 있다.

박씨는 "사람과 친해지는 방법 중 하나가 먹는 것"이라면서 "인터넷 공간에서라도 같은 시간에 누군가와 무언가를 먹으면서 공유하는 원초적 감정이 먹방 인기를 키웠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씨의 먹방 시간에는 댓글이 물밀듯 올라온다. '언니따라 치킨 시켰어요' '혼자 살고 있지만 친구와 밥 먹는 기분이에요' 등의 시청자 댓글을 보면서 박씨는 라디오 진행하듯 대화를 나눈다.

박씨는 "나의 푸짐한 식사 장면을 보면서 거식증을 극복했다는 쪽지가 기억에 남는다"면서 "시청자들이 고단한 하루 일과를 마친 저녁 시간에 먹방을 보면서 스트레스를 풀며 즐거움을 얻는 것 같다"고 밝혔다.

◆ 한달 식비 직장인 월급 맞먹어

방송을 하면서 웃지 못할 상황도 발생한다. 음식 배달을 시킬 때마다 "오늘도 손님 오세요?"란 질문을 받는다. 가끔씩 부모님이 방송에 까메오로 출연해 가족이 오붓하게 먹방을 진행하는 모습을 선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매일 저녁 방송을 하다보니 개인 약속을 잡지 못하는 상황도 종종 발생한다. 박씨는 "막상 사람 만날 시간이 없다보니 애인도 못 만들었다"면서 "부모님께서 방송 출연을 즐기신다, 가족 응원이 방송에 큰 힘이 됐다"고 웃었다.

먹방BJ '더디바' 박서연씨가 인터뷰 후 쿠키 먹는 포즈를 취하고 있다. /장윤희기자





그녀의 하루 먹방용 음식비는 평균 6만~10만원으로 최대 70만원을 호가한다. 저녁 메뉴는 그날 입맛이 끌리는 대로 결정한다. 방송은 오후 7~8시 사이에 시작해 2시간 가량 진행된다. 박씨는 음식을 소화시킨 뒤 새벽 3시께 잠에 든다. 별도의 운동은 하지 않는다. 타고난 체질이다.

그는 "시청자들이 함께 먹을 수 있도록 배달 음식을 주로 선정한다"면서 "다만 고기는 꽃등심만 먹는다, 내가 좋아하는 메뉴로 먹어야 방송의 진정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직장인 월급을 뛰어 넘는 한달 식비는 아프리카TV의 시청료 개념인 '별풍선'과 각종 협찬으로 충당한다. 음식뿐 아니라 박씨의 방송용 의상과 배경 소품까지 협찬 문의가 쇄도한다. 모니터 화면에 비춰지는 모든 것들이 시청자의 관심 대상이다. 박씨는 '먹고 남을 수준'으로 수입을 올린다고 설명했다.

박씨는 "모든 협찬은 사전에 꼼꼼히 시식하고 이용해본 뒤 결정한다, 나를 믿고 음식을 선택하는 시청자가 많고 미성년자 비율도 높아 더욱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한편 먹방의 가학성 논란에 대해 그는 "소수의 사람 때문에 먹방 전체가 흐려지는 것 같아 나는 더욱 모범이 되도록 방송한다"면서 "먹고 토한다든가, 음식을 흘리거나 뿌려서 먹는 등 혐오감을 주는 방송은 안타깝고 지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박씨는 "누구나 맛있는 것을 먹을 때 기분이 좋아지지 않느냐, 사람들이 웃을 일이 별로 없다보니 먹방에 더 열광하는 것 같다"면서 "위(胃)가 허락하는 데까지 방송하고 싶다"고 웃으며 쿠키를 하나 집었다.

여담 하나. 다가오는 3월 14일 화이트데이는 박씨의 방송 시작 900일이다. 그녀는 그날 메뉴로 '닭새우'를 정했다며 즐거워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