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모바일광고 시장규모는 4160억원으로 전년 대비 93% 성장한 것으로 조사됐다.
18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발표한 '2013년 모바일광고 산업통계 및 광고효과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모바일광고 시장규모는 4160억원으로 전체 광고시장(9조8016억원·제일기획 조사)의 약 4.2%를 차지했다.
모바일 웹이나 앱의 이용자에게 배너, 텍스트 등의 형식으로 표출되는 디스플레이광고가 지난해 2004억원 규모로 전년(907억원) 대비 두배 이상 성장하며 전체 모바일광고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신규 광고방식인 보상형 광고(모바일 앱 등으로 광고를 시청한 이용자에게 포인트 등을 지급하는 광고)도 582억원 규모로 눈에 띄게 성장했다.
지난해에는 광고대행사 매출이 43.5%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으나, 광고 매체가 다양해지면서 올해 이후에는 미디어렙사의 비중이 47.0% 수준으로, 광고대행사를 앞설 것으로 예측된다.
광고주들도 방송, 인터넷 등 보다 모바일광고가 가장 크게 증가(58.8%)할 것으로 답하며, 앞으로 가장 선호하는 매체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용자가 직접 모바일광고의 상세내용을 확인하는 비율인 클릭율은 검색광고가 73.3%로 가장 높았으나 실제 구매까지 이어지는 구매율은 보상형광고가 60.1%로 가장 높았다.
아울러 친숙하고 이해하기 쉬운 동영상광고가 이용자에게 효과적인 광고 수단으로 조사됐으며, 식음료(26%), 게임·오락(24%), 패션·화장품(23%) 등이 모바일에 적합한 분야로 조사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모바일광고 관련 사업자(광고대행사, 미디어렙사, 매체사, 플랫폼사 등 152개사), 광고주(85개사) 및 일반 이용자 2000명을 대상으로 ▲시장규모 ▲사업자별 매출 ▲광고 유형별 클릭·구매율 ▲광고 유형별 효과성 및 거부감 ▲모바일광고 적합 상품유형 등에 대해 조사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 결과가 정부의 정책수립뿐 아니라 민간의 광고 집행과 학술연구 등에 활용될 것"이라며 "향후 영세한 중소·벤처업체의 참신한 광고 아이디어와 신기술을 사전에 검증·보완할 수 있도록 테스트 패널(약 2만명)을 지원하고, 모바일 광고 플랫폼 인증을 통해 신뢰성과 활용도를 높일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