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연속 톱 10 달성에 실패한 한국 대표팀이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훌륭한 기대주들을 대거 발굴했다는 점에서 큰 수확을 거뒀다.
약간의 아쉬움을 남겼지만 확실한 희망을 발견한 예비 스타가 여자 쇼트트랙의 심석희(17·세화여고)다. 3관왕을 차지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심석희는 다소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인 금(3000m 계주)·은(1500m)·동메달(1000m)을 하나씩 목에 걸었다.
3000m 계주 결승에서 팀의 에이스로 마지막 레이스를 책임지며 역전 드라마를 쓴 그는 전 세계 팬들은 물론 경쟁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다. 그러나 1500m 결승에서는 중국의 저우양에게 다잡은 금메달을 내주는 아쉬움을 남겼다. 이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는다면 그는 향후 10년 이상 한국 여자 쇼트트랙의 전성기를 책임질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심석희와 함께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합작한 김아랑(19·전주제일고)과 공상정(18·유봉여고) 등 무서운 10대들의 질주는 평창에서 절정에 오를 전망이다.
'피겨 여왕' 김연아의 뒤를 이을 김해진(17·과천고)과 박소연(17·신목고)의 성장을 지켜보는 것도 평창의 또 다른 재미다. 처음 올림픽 무대를 밟은 이들은 쇼트프로그램에서 24위에 들어 프리스케이팅에 진출하는 등 귀중한 경험을 쌓았다.
스켈레톤의 윤성빈(20·한국체대)은 선수 경력이 1년 반밖에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믿기지 안을 정도의 놀라운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이번 대회에서 한국 썰매 종목 역사상 최고 성적인 16위를 기록하며 홈그라운드인 평창에서의 성적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이번 대회에서 성적을 떠나 가장 큰 관심과 응원을 받은 종목이 컬링이다. 스킵 김지선(27)을 중심으로 이슬비(26), 신미성(36), 김은지(24), 엄민지(23·이상 경기도청)는 세계랭킹이 가장 낮은 10위임에도 3승 5패를 거두며 세계 강호들을 위협했다.
이 외에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장거리 종목의 김보름(21·한국체대), 남자 모굴스키의 최재우(20·한국체대) 등도 평창의 활약을 더욱 기대하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