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적자속에 경영 위기를 겪고 있는 팬택이 결국 2년2개월 만에 또다시 워크아웃(기업회생절차)을 추진한다.
팬택은 산업은행 등 주요 채권금융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재무적 건전성을 개선함으로써 중장기적 생존발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워크아웃을 추진중이라고 25일 밝혔다.
앞서 국내 3위 휴대전화 제조업체인 팬택은 지난 2007년 4월 경영악화로 인해 워크아웃에 들어갔으나 고강도 구조조정 및 17분기 연속 흑자행진을 기록하며 4년8개월만인 2011년 12월 워크아웃을 졸업한 바 있다.
이번 팬택의 2년여만에 또다시 워크아웃을 추진한 데에는 취약한 재무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회사의 근본적인 경쟁력을 강화해 중장기적인 생존 바탕을 마련하기 위함에 있다. 특히 마케팅 강화, 신기술 연구개발(R&D) 역량제고에 필요한 외부투자 유치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이다.
팬택 관계자는 "이번 워크아웃 추진은 팬택과 주요 채권금융기관이 강구한 선제적 대응방안"이라며 "채권금융기관과 기업의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상생의 모범사례가 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팬택과 채권단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한 워크아웃 추진은 국내외 시장의 현실과 맞물려 있다. 최근 국내외 스마트폰 시장은 단말기 기술혁신이 퇴조하면서 기술력, 상품력 중심시장에서 급격하게 마케팅 시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마이크로소프트의 노키아 인수, 레노버의 모토로라 인수 등 글로벌 업체들의 인수합병 등에 따른 글로벌 경쟁구도 변화, 삼성과 애플로의 쏠림현상 지속은 자금력이 부족한 팬택으로서는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팬택은 지난해 9월 말 선제적으로 고강도 사업구조 혁신을 단행하며 생존력을 높일 수 있는 국내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고 해외사업은 수익성 위주로 재편했다. 아울러 수익성이 보장되는 신규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이러한 사업재편에 맞춰 운영인력의 30%를 축소했다.
다만 팬택은 이 같은 긴축경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흑자전환에는 실패했다. 지난해 4분기에도 영업적자 300억원 안팎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직전분기 기록한 1900여억원에 달하는 적자규모는 대폭 축소할 것으로 보이지만 6분기 연속적자로 인해 재무적 안정성이 취약해진 상황이다.
이 때문에 팬택은 근본적인 발전을 위해 산업은행 등 주요 채권금융기관들이 근본적이고 선제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한 바 현실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바람직한 방안으로 워크아웃을 추진키로 의견을 모았다.
팬택 관계자는 "이번 워크아웃은 팬택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재무구조 개선 등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단말기 유통구조 개선법이 시행되면 외부상황도 팬택의 경영정상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