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유통일반

추억 속 잊혀진 제품?…알고 보니 요즘 '대세'

PN풍년의 '블랙펄네오 압력솥'



하루에도 수없이 쏟아지는 새로운 제품들 사이에서 유유히 자기 영역을 지키거나 다시금 부활한 제품들이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최근 인기를 끈 tvN의 '응사(응답하라 1994와 1997)' 바람을 타고 90년대 먹거리·패션·음악 등이 다시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주방 용품부터 전자제품까지 제 각각의 '넘사벽'(넘을 수 없는 벽) 매력으로 잊힌 줄 알았지만 요즘 대세가 된 제품도 있다.

◆쫀득쫀득 찰진 밥맛은 포기 못해…압력솥

워킹맘 정가람(35)씨는 최근 주방 수납장에 넣어두었던 압력솥을 다시 꺼내 쓰고 꺼내 쓰고 있다. 사실 전기밥솥을 구매한 후 압력솥은 잘 안 쓰게 되었는데 친구의 추천으로 다시 사용하고 보니 취사시간이 3분의 1이하로 줄었다. 게다가 압력밥솥 특유의 쫀득쫀득한 찰진 밥맛을 구현할 수 있어 요즘에는 주변 사람들에게 압력솥 예찬론을 펴고 있다. 게다가 밥뿐만 아니라 찜·탕·면요리까지 압력솥으로 할 수 있는 다양한 요리법들이 소개되고 있어 가족들의 건강한 밥상이 더욱 푸짐해졌다.

압력솥 브랜드 PN풍년 관계자는 "압력솥을 잊힌 제품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있지만 영양소 손실을 최소화하고 맛과 향을 그대로 보존하는 등 압력솥만의 장점이 알려지면서 매해 수요량이 늘고 있다"며 "2009년 370억이던 압력솥 매출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지난해에는 470억원에 달했다"고 말했다. 특히 PN풍년 대표 스테디셀러 압력솥인 블랙펄의 경우 지난 4년 동안 총 41만대가 판매 됐고 2013년 디자인과 안전 기능을 새롭게 리뉴얼한 '블랙펄네오'를 출시하기도 했다.

◆기계음 대신 라이브 노래를 들려줘요…LP(long-playing record)

스카이디지탈의 'aria pan FM 턴테이블'



LP판의 화려한 부활이 거세지고 있다. 한동안 잊혀졌던 LP가 음악을 소장하고 간직하려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다시금 사람들의 눈과 귀를 매료 시키고 있다. 최근 26년 만에 LP로 재탄생한 유재하의 1집부터 지난해에는 '가왕' 조용필이 19집 앨범 'Hello'를 발매하며 한정판 LP버전을 제작·판매했다. LP는 젊은 가수들에게도 주목 받고 있다. 브라운 아이드 소울, 장기하뿐만 아니라 2AM 등 아이돌 가수도 LP음반을 내놓았으며 특히 지드레곤의 LP음반은 하루 만에 8000장이 완판 될 만큼 큰 인기를 끌었다.

이에 힘입어 오디오 브랜드에서도 다시 LP 플레이어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21세기형 턴테이블(Turn Table)이라고 불리는 인켈의 'PM-9907U'는 기존 LP 플레이어들이 손으로 톤암(Tone Arm)을 움직여야 하는 수동방식이었던데 비해 자동 재생이 가능하며 MP3 파일 변환 및 USB 리코딩 기능이 추가된 것이 특징이다. 국내 업체에서도 최근 스테레오 스피커와 FM라디오 튜너가 탑재된 복고풍 디자인의 LP턴테이블을 출시했다. 스카이디지탈의 'aria pan FM 턴테이블'은 복고풍의 아날로그 다이얼과 체리 원목의 클래식한 디자인으로 고급스러운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신혼 분위기 살리는 감성 가전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다.

◆100장보다 가치 있는 1장을 위해…필름카메라

라이카의 '-M7 '(필름카메라)



눈을 감고 찍힌 사진이어도 그 한 장이 소중했던 때가 있었다. 아쉬워도 인화한 사진을 앨범에 잘 넣어 그날의 추억을 되새기던 그 때. 앨범에 넣어둔 사진은 언제 봐도 기억에 살아 숨 쉰다. 카메라도 기술의 발전과 함께 일상이 너무나 바쁜 현대인을 위해 점점 진화했다. 화질과 성능은 물론이거니와 같은 장소에서 100장을 찍어도 필름 걱정 없는 디지털카메라와 휴대성까지 겸비한 스마트폰 카메라는 현대인들의 입맛에 안성맞춤이었다. 하지만 과거 사진을 촬영하고, 인화돼 나올 때까지 궁금증과 함께 설렘을 간직했던 필름카메라의 매력을 다시 그리워하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트렌드에 맞춰 지난해 한 오픈마켓에서는 아날로그 상품전까지 열어 필름카메라의 경우는 25%, 필름은 40% 가량 판매량이 급증하기도 했다. 포털 사이트 필름카메라 동호회 카페를 찾아보면 제품 추천·구매·사용방법 등 자세한 정보도 공유할 수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