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방부의 고위 관계자가 북한의 추가 도발을 전망한 2일만에 북한이 국제사회를 비웃듯 실제로 미사일 도발을 감행했다.
특히 북한은 최근 이산가족 상봉과 금강산 관광 재개등의 화해 무드를 앞세운 이같은 행위를 저질러 국제사회로부터의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
지난 25일(현지시각) 로버트 워크 미국 국방부 부장관 지명자 등은 자국의 상원 군사위원회 인준 청문회에서 "북한이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권력 공고화 과정에서 추가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한 말이 나온지 불과 이틀만에 북한이 실제로 국제사회에 보란듯이 미사일을 쏘아 올렸다.
워크 지명자는 이날 상원 군사위원회 인준 청문회에서 서면 답변서를 통해 "김정은은 완전한 통제권을 유지하고 있고, 계속 권력을 강화하고 있다"면서 "김정은이 권력을 계속 공고화하고 자신들이 원하는 방식의 협상으로 우리를 다시 끌어들이기 위해 추가 도발을 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었다.
그는 "북한은 미국과 역내 동맹에 지속적으로 심각한 우려가 되고 있다"면서 "북한의 미사일과 대량살상무기(WMD) 프로그램, 확산 행위는 아시아 주둔 미군과 역내 동맹에 직접적이고, 심각한 위협이다"고 진단하기도 했다.
그는 "북한의 이런 프로그램이 장거리 역량에서는 대체로 검증되지 않고 있지만 미국 본토에도 직접적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확산통제체제 강화, 국제 비확산 규정 개선 등을 통해 북한의 확산 노력을 차단할 것이라면서도 "이런 노력에도 북한은 새롭고 복잡한 확산 네트워크를 통해 무기 관련 운송을 계속 시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청문회에 함께 출석한 크리스틴 워머스 국방부 정책차관 지명자 등은 김정은 제1위원장의 '예측불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거듭 표시했다.
워머스 지명자는 서면 답변서에서 "한반도의 안보상황이 심각하기 때문에 우리의 끊임없는 경계가 필요하다"면서 특히 "김정은의 예측불가능성이 우리의 우려를 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데이비드 시어 아태안보 담당 차관보 지명자도 청문회에서 "북한의 의사결정 구조는 극도로 불투명하다"면서 "그들은 권력승계 중에 있고, 김정은은 지도력 확보를 시도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면밀하게 감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워머스 지명자는 또 한·미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재연기 논의에 대해 "이른바 '2015 전략동맹' 계획에 제시된 시간표에 따라 전환하는 것을 계속 추진한다"면서 "그러나 전작권은 항상 조건부"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공식 임명되면 '2015 전략동맹' 이행의 맥락에서 한반도의 안보상황을 계속 평가, 재점검할 것"이라고 강조, 재연기에 무게를 실었다.
이어 시어 지명자는 한반도 상황과 관련, 최근 장성택 처형 등을 언급한 뒤 "모든 발생 가능한 우발사태에 대비할 수 있도록 북한의 위험 평가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