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사태가 일촉즉발의 위기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실제로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개입에 나설지 전 세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1일(현지시간) 미 CNN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내 군사력 사용을 위해 상원 승인까지 받으면서 크림반도에서의 군사 충돌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지난달 26일 푸틴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인접 지역에서 비상 군사 훈련을 명령했다. 이에 따라 15만 명의 병력과 전투기 90대, 탱크 870대와 군함 80척이 기동 훈련에 돌입했다. 우크라이나 국방장관은 러시아가 6000명의 병력을 크림반도로 이동시켰다고 주장했다.
러시아 정부는 양국 간 협정에 따라 이 같은 병력 이동이 문제될 게 없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우크라이나 과도정부는 러시아의 '군사침공'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도 러시아의 군사 개입을 가만히 보고만 있지 않겠다며 강경 대응 방침을 밝혔다.
그러나 실제로 푸틴 대통령이 군사공격 카드를 꺼내들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견해가 많다. 러시아가 새로 들어선 친서방 성향의 우크라이나 중앙정부를 압박하는 선에서 발을 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국제문제 전문가들은 러시아가 여러 면에서 군사 행동에 나서기 쉽지 않다고 말한다. 먼저 리비아, 시리아 사태 등에서 외세 개입을 강력하게 반대해온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사태에 개입할 경우 스스로 원칙을 깨는 꼴이기 때문이다.
또 러시아의 군사 개입은 우크라이나 내 친러 성향인 동남부 지역과 친서방 성향인 중서부 지역 간 내전을 초래할 수 있다. 우크라이나의 내전은 대규모 난민 유입 문제 등과 함께 러시아 사회에 극심한 혼란을 빚을 가능성이 크다.
경제적인 충격도 고려해야 한다. 우크라이나의 정정 불안으로 이미 러시아 경제는 타격을 받고 있다. 러시아 통화 루블화 가치가 급락하는가 하면 우크라이나에 투자한 러시아 은행과 기업들의 연쇄 피해도 우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