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피는 3월, 갓 스무살이 된 새내기들은 교복을 벗고 대학생이 된다는 기대로 한껏 부풀어 올랐을 것이다.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첫 자기소개부터 선배·동기들과 함께하는 술자리까지 새내기의 모든 행동과 말투에 시선이 집중되는 긴장된 순간도 이어진다. 이럴 때 '센스있는 새내기'가 되려면 이 정도 유행어 '체크하고 가실게요~!'
◆개콘 유행어? 이 정도는 느낌 아니까
개그콘서트는 1999년 시작한 이래 꾸준히 인기를 끌며 다양한 유행어를 쏟아냈다. 2014년도 마찬가지다. 개콘 시청자가 아니더라도 한 번쯤 들어봤을 유행어를 실제 상황에서 재치있게 써보자.
새내기 오리엔테이션부터 MT 등 여러 술자리에서 선배가 만약 과한 양의 술을 권한다면 개콘 '끝사랑'의 김영희의 유행어로 애교있게 빠져 나가보자. "선배 이 이상의 술은 앙대여~". 물론 김영희와 비슷한 걸쭉한 목소리로 해야 유행어임을 눈치 챌 수 있다. 그냥 "안 돼요"하면 반항하는 새내기로 보일 수 있기 때문.
김영희같은 목소리를 내기 어렵다면 '후궁뎐'의 오나미에 빙의해 콧소리를 가득 넣고 "하지 마옵소서~"라고 말하며 슬쩍 빠져보자.
술자리가 아니더라도 새내기의 '재롱'을 기대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들을 위한 각종 장기자랑에서 빼지 않고 '뿜 엔터테인먼트' 김지민의 유행어와 함께 당당하게 나서보자. "요 정도 장기자랑? 느낌 아니까~"
이 외에도 "~하고 가실게요", "그래그래", "쟈나" 등 실제 상황에서 상황에 알맞은 유행어를 쓰면 센스 넘치는 새내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유행어를 너무 남발하면 TV 오타쿠로 보일 수 있으니 주의할 것.
◆소치올림픽의 "잘했어요, 언니~"
최근 폐막한 소치 올림픽에서도 유행어를 만들어낸 이들이 있다. 바로 뛰어난 실력과 미모로 시청자들을 사로잡은 여자 국가대표 컬링팀이다. 이들은 경기 내내 소리를 지르며 서로를 응원하는 모습으로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 때 나온 유행어가 바로 "괜찮아요, 언니~", "잘했어요, 언니~"다.
동기가 술을 잘 마시지 못하거나 장기자랑에서 실수한다면 큰 목소리로 "괜찮아요, 언니~" 해주는 센스를 발휘해 보면 어떨까. 반대로 흑기사 또는 흑장미로 나서서 술을 대신 마셔주는 선배나 동기에게 "잘했어요, 언니~"라고 소리쳐 주자. 성별과 관계없이 무조건 '언니'라고 해주는 게 포인트다.
하지만 남학생이 말끝마다 '언니'를 쓴다면 오해받을 수 있으니 상황을 봐가면서 쓰도록 하자.
◆인터넷 유행어도 체크하자
새내기라면 미팅은 필수 코스다. 각종 미팅과 소개팅·과팅 등에서 핑크빛 무드에 걸맞는 유행어와 멘트로 매력을 발산해 보자. 재밌어보여야 한다는 압박감에 아무 때나 잘못된 유행어를 남발하면 '연서복'처럼 역효과를 볼 수 있다.
'연서복(연애에 서툰 복학생)'은 최근 트위터에서 인기를 끈 봇(bot)으로 대학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남자 복학생 선배들의 말투나 행동을 패러디한 멘트를 남겼다. 예컨대 "우리 애기 브런치 먹었어요? 너 된장녀구나", "오빠는 우리 애기가 개념녀라서 좋아" 등에서 쓰인 '된장녀', '개념녀' 등은 유행어이긴 하지만 듣는 상대를 기분 상하게 할 수 있는 말이니 주의해야 한다.
새내기 남학생들은 '연서복'을 반면교사 삼아 훈훈한 유행어만 쓰도록 노력해 '훈남대열'에 등극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