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소비자

소시모, 등산배낭 70% '실제용량이 표시용량보다 작아'

배낭제품의 도장·도금 내식성 검사 결과, 내식성이 품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 솔트렉(사진 왼쪽)과 트렉스타 제품./소비자시민모임 제공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등산용 배낭 20개 중 14개 제품의 용량이 표시 용량에 못 미치는 사실상 '불량'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소비자시민모임은 4일 등산용 배낭 20개 제품을 비교 시험한 결과 14개 제품이 표시 용량보다 실제 용량(30ℓ 기준 ±2ℓ 허용)이 작았다고 밝혔다.

특히 솔트렉 제품의 경우 실제 용량이 표시 용량의 60.0%에 불과했다. 게다가 내구성 상대적 시험에서도 제품별로 차이가 많이 났다.

밑판과 몸판 사이의 봉제 강도를 나타내는 봉합강도 평가에서는 최대 943N(휴몬트), 최소 281N(사우스콜)으로 3.4배나 차이가 났다.

어깨끈의 부착 강도 평가에서는 코오롱스포츠(1678N) 제품이 가장 튼튼한 했다. 하지만 사우스콜(638N) 제품은 강도가 약했다. 엑스피크(880N) 제품의 손잡이가 가장 견고했지만 투스카로라(259N) 제품은 손잡이 부착 강도가 약했다.

바깥 힘에 대한 주원단의 저항력 시험에서는 팀버라인·트렉스타·쿠드코리아 제품이 높은 점수를 받은 반면 오스프리 제품이 가장 낮았다.

지퍼 등 금속성 부품의 부식성 시험에서는 솔트렉·트렉스타·휴몬트·BFL아웃도어 제품의 품질이 떨어졌다. 레인커버의 빗물 테스트에서는 팀버라인 제품의 방수 기능이 미흡했다.

혼용률 표시 조사에서 사우스콜 제품은 혼용률 표시가 빠져 있었다. 이 이외의 제품은 ▲겉감·안감 구분 표시누락 ▲겉감 조성 부적합 ▲안감 부위 표시누락 ▲통일문자 미사용 등 부적합 사항이 발견됐다.

소시모 측은 "현재 용량을 측정할 기준이 마련되지 않아 제조사마다 측정 기준이 다르다"며 "소비자가 표시 용량을 믿고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측정 방법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