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KT 홈페이지 해킹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사고의 원인 조사를 위해 방송통신위원회, 미래창조과학부 공무원 및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민·관합동조사단'을 현장에 파견해 조사를 실시 중이라고 7일 밝혔다.
이번 민·관합동조사단은 미래부·방통위 공무원 4명과 보안업체 전문가 2명,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분석전문가 4명 등으로 구성됐다.
방통위는 KT로 하여금 누출된 개인정보 항목, 유출 시점 및 경위, 피해 최소화를 위한 이용자 조치방법, 이용자 상담 등을 접수할 수 있는 부서 및 연락처 등을 이용자에게 우편 및 이메일로 통지토록 하고 자사 홈페이지에 개인정보누출 조회시스템을 조속히 구축하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방송·통신·인터넷 관련 협회 및 사업자와 '개인정보 침해대응 핫라인'을 가동해 유출원인 및 대응방법 등 정보공유를 통해 유사 피해 확산을 방지토록 조치할 예정이다.
아울러 개인정보 유출사고로 인한 이용자 보호를 위해 개인정보 불법유통 및 노출 검색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한편, 개인정보침해신고센터를 24시간 가동하고, 신고 접수를 받도록 했다.
미래부는 이번 사건으로 유출된 개인정보를 이용한 보이스피싱, 스미싱 등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사이버사기 대처요령을 숙지하고 주의를 기울여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KT는 지난 2012년에도 전산망을 해킹당해 가입자 873만명의 가입자 정보가 유출된 바 있어 KT 개인정보 관리 및 보안에 큰 허점이 있다는 비판이 강력하게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사건과 관련 인천경찰청 광역수사대는 6일 신종 해킹 수법으로 KT 홈페이지에서 1200만명의 개인정보를 탈취한 뒤 휴대전화 개통·판매 영업에 사용한 혐의(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등에 관한 법률위반)로 전문해커 김모(29)씨와 정모(38)씨 등 2명을 구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