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 휴진을 하루 앞둔 9일 의료계가 국민에게 집단 휴진의 당위성을 설명하고 이해를 호소한 가운데 대한의사협회가 사실 확인이 되지 않은 내용을 발표해 논란이 커지고 있다.
노환규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이날 오후 의협회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하고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책임지는 의사들이 직업 윤리에 어긋나는 극단적인 선택을 한 이유는 더 이상 잘못된 건강보험 제도와 의료제도를 방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가 추진하는 원격진료와 의료 영리화 정책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덧붙였다.
특히 노 회장은 "이번 투쟁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기 위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정부를 향해 벌이는 싸움"이라며 국민들의 이해를 호소했다.
또 "집단 휴진에 참여하는 회원들을 처벌하기에 앞서 의협 회장 해임권을 갖고 있는 보건복지부 장관이 나부터 해임해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의협의 이런 호소가 있기 전 의협과 노 회장이 신뢰성에 치명타를 입으며 의료계 총파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을지가 불분명해졌다.
호소문 발표 이틀 전인 지난 7일 오전 의협은 새누리당 국민건강특별위원회와 물밑 논의를 통해 중재안을 마련했으며 이 중재안이 당정 협의를 거쳐 최원영 청와대 수석에게까지 보고됐지만 청와대에서 중재안을 거부해 총파업을 강행한다고 밝혔다.
국민 건강을 고려해 최악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총파업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청와대의 결정으로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는 주장이다.
그렇지만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날 오후 의협은 보도자료를 통해 "일부 사실과 다른 내용이 포함된 채 배포된 점에 대해 깊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자신들의 주장을 스스로 뒤집었다.
청와대 중재안 거부가 사실과 다른 얘기이며 의협이 어떤 주장이 어떻게 사실이 아닌지 정확히 밝히지 않아 의협과 노 회장의 신뢰성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다.
이후 노 회장이 JTBC 뉴스에 출연해 "청와대가 거부한 사실을 다룬 자료는 당장 확인이 어려운 부분"이라고 말하며 해명에 나섰지만 청와대가 언급된 자료가 의료계 수장의 재가를 거치지 않았다는 점은 단순 실수로 보기 어렵고 설득력 역시 없어 보인다.
보건복지부 역시 의협의 주장이 사실 무근이라고 일축했다. 복지부는 해명 자료를 통해 "당정 협의를 개최한 적이 없으며 청와대에서 이를 거부한 사실도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 및 지자체, 대한약사회 등은 의료계 총파업에 대비해 10일부터 비상 진료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