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시민이 '영업 정지 전 마지막 보조금 70만원 지원' 문구가 적힌 휴대폰 대리점을 지나치고 있다. 이동통신 3사는 통신 시장 과열 조장으로 인한 제재로 13일부터 순차적으로 영업정지에 들어간다. /손진영기자 son@
13일부터 시작되는 이동통신사의 사업정지(영업정지) 시작을 앞두고 통신 업계에 긴장감이 돌고 있다.
앞서 미래창조과학부는 '불법보조금 지급을 중단하라'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시정명령을 어긴 이통 3사에게 각각 45일간의 영업정지 명령을 내렸다.
12일 미래부에 따르면 13일부터 4월 4일까지 LG유플러스와 KT, 4월 5일부터 4월 26일까지 SK텔레콤과 KT, 4월 27일부터 5월 18일까지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 5월 19일에는 SK텔레콤만 영업정지에 들어간다.
이번 징계는 지난해보다 기간이 길고 2개 통신사가 동시에 순차적으로 영업정지에 들어가는 점이 특징이다. 미래부는 2개 통신사씩 영업정지를 하면 남은 한곳만 영업을 하기 때문에 과도한 이용자 뺏기 경쟁을 막을 수 있다는 이유로 이같은 방식을 취했다.
이에 대해 KT 고위 관계자는 "아무래도 2개사가 동시에 영업정지 되면 예전보다 과열 현상을 낮추는 효과가 있지 않겠느냐"면서 "다만 영업정지보다 사업정지란 표현이 더 정확하다"고 말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지난해 통신업계 사상 초유의 영업정지가 시행됐지만 올해 더 큰 규모로 되풀이됐다"면서 "이번 영업정지는 지난해보다 실효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미래부가 향후 통신사의 불법보조금 행위 적발시 과징금만큼 요금제를 감면하는 방안을 추진하는데 대해서는 "건전한 통신 시장 조성을 위한다는 정부 취지에는 공감한다"면서 말을 아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영업정지를 계기로 통신 시장 분위기가 좋아지길 기대한다"며 "통신 관련 업계 피해는 최소화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차분한 이통3사의 분위기와 달리 일선 휴대전화 업계 종사자들은 들끓고 있다.
한 휴대전화 대리점주는 "이통사에게 영업정지는 마케팅비를 합법적으로 아낄 수 있는 시간이지만 일선 영세 종사자에게는 개점 휴업을 강요당하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한편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는 영업정지가 시작되는 13일 오후 2시 종로 보신각 앞에서 이통사 영업정지 철회를 요구하는 집회를 열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