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년 3월 출시된 '짜파게티'가 올해로 출시 30주년을 맞았다.
전국민이 사랑하는 별식인 짜장면을 인스턴트화 한 라면으로 현재 국내 짜장라면의 90%이상 점유율을 차지하며 큰 사랑을 받고 있다는 것이 농심 측의 설명이다.
이 제품은 출시 후 지난달까지 총 50억봉이 판매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를 일렬로 세우면 에베레스트 10만배 높이라는 것이다. 총 판매 금액은 1조7천억원에 달한다.
농심은 짜파게티가 지난해 전년대비 26%의 매출 상승을 견인하며 출시 이후 최대매출인 1300억원을 달성했다고 강조했다. 이는 '짜파구리', '오빠게티' 등 지속적으로 새로운 이슈가 도출되면서 판매에 날개를 달게 했다.
짜파게티가 처음 출시됐던 84년 당시 시중에 나와 있던 제품들은 스프가 면에 잘 섞이지 않고 수제비처럼 뭉치는 단점이 있었다고 한다. 농심은 국내 최초로 스프 제조에 그래뉼 공법을 도입해 잘 비벼지는 스프를 개발해 단점을 장점으로 보완했다. 여기에 푸짐한 건더기와 진한 짜장의 맛을 재현해 호평을 받았다.
맛과 품질면에서 확연한 차별화를 이룩한 짜파게티는 기존 제품보다 50원이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출시 초기부터 큰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짜파게티'가 인기가 높아지면서 경쟁사들도 '짜짜로니', '짜장파티'등 비슷한 짜장라면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짜파게티는 지난해 한 예능프로그램을 통해 너구리 라면과 함께 섞어 먹는 '짜파구리' 레시피로 새삼 큰 인기를 끌며 출시 30여년 만에 라면 전체 매출 3위에서 2위에 오르며 '제2의 전성기'를 맞았다. 최근엔 인기 연예프로그램인 '무한도전'에서 멤버들이 오징어짬뽕과 짜파게티를 함께 만들어 먹는 '오빠게티' 레시피가 전파를 타면서 또 한번 화제몰이를 하고 있다.
◆짜파게티의 효시는 '짜장면'
농심은 온 국민이 좋아하는 짜장면을 개발 하기 위해 당시 서울에서 제일 맛있다고 소문난 중국 음식점인 '아서원'의 주방장을 회사로 초빙하여 연구원들에게 요리법을 지도 받게 하는 등 맛 좋고 간편한 짜장라면을 위해 정성을 다했다고 한다. 국내 최초 짜장라면이었던 '짜장면'은 출시 후 큰 사랑을 받았지만 뒤따라 선보인 미투제품으로 인해 장기히트제품에서는 이름을 뺐다.
이후 농심의 짜장라면 발전사는 1978년 '삼선짜장면', 1983년 '농심짜장면', 1984년 '짜파게티'로 이어졌고, 계속해서 '짜장 범벅(現 짜파게티범벅)(1988)', '짜장 큰사발'(1992), '사천짜파게티(2004)' 등으로 이어졌다.
▲짜파게티…박물관에 전시된 짜장라면
'짜파게티'는 짜장면과 스파게티를 합성한 브랜드 명이다.
당시 출시했던 짜장라면의 이름은 대부분 '00짜장'이 주를 이뤘다. 하지만 84년 출시한 '짜파게티'라는 이름은 그야말로 센세이션이었다고 농심 측은 당시 상황을 전했다.
여기에 중국집 주방 화덕 위에서 센 불로 볶인 춘장의 풍미를 유감없이 재현한 맛으로 짜파게티는 등장직후 인기를 끌었다.
CF도 큰 화제를 모았다. "일요일은 내가 짜파게티 요리사!"라는 일관된 광고 카피로 짜파게티는 주말 별식으로 자리매김 했다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제작된 광고에서는 고객들이 모델을 역 제안, 화제가 되기도 했다. 공중파 예능 프로그램인 '아빠 어디가'에 출연해 진정한 먹방을 보여줬던 윤후와 이 레시피를 소개했던 김성주 부자 등이 광고에 등장, 소비자의 의견이 반영된 광고가 완성됐다.
국내에 처음으로 짜장면을 판매하던 음식점 '공화춘' 자리에는 현재 짜장박물관이 문을 열었다. 인천시 남구 시설관리공단이 설립한 짜장박물관에는 국내 짜장면의 역사와 가격 옛 짜장면의 모습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특히 이 곳 짜장라면 코너에는 국내 대표라면인 짜파게티도 만나볼 수 있다. 이는 짜파게티가 짜장면 역사에도 빼놓을 수 없는 존재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30주년 기념, '먹방 동영상 컨테스트' 개최
농심은 30년간 보내준 고객의 사랑에 보답하기 위해 '내가 바로 짜파게티 요리사' 이벤트를 준비중이다. 1984년부터 2014년까지 짜파게티와 함께한 소비자의 영상과 사진을 모아 온라인 광고를 제작할 계획이며, 세살부터 12살 아이들의 천진난만한 먹방 영상을 4월초부터 모집할 예정이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