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회계분식 전력이 있거나 수정 공시가 잦은 회사도 감리 위험요인에 포함된다.
금융감독원은 13일 올해 127개사에 대해 감사보고서 감리를 시행하는 '2014년도 회계감리업무 운영계획'에서 이처럼 밝혔다.
올해 감리 대상은 지난해 103곳에서 24곳 늘었다.
금감원은 표본감리 대상으로 선정한 30곳 안팎과 전기 이월된 150여곳을 합친 총 180여곳을 순차적으로 감리할 계획이다.
매년 증가하는 감리 적체건수를 해소하기 위해 신규 표본감리 선정은 최소화하고 기존 건 위주로 감리를 실시한다.
감리 적체건수는 2011년 76건에서 2012년 127건, 지난해 201건으로 불어났다.
금감원은 품질관리 수준이 낮은 회계법인이 감사한 회사나 회계분식 전력이 있는 회사, 수정 공시가 빈번한 회사의 경우 표본선정 시 위험요소로 새로 추가했다.
금감원은 재무제표 작성단계에서 회계오류 가능성을 낮추는 사전예방적 감독을 강화하기 위해 ▲퇴직급여부채의 보험수리적 현재가치 측정 ▲무형자산(영업권·개발비) 평가 ▲신종증권 등의 자본과 부채 분류기준 ▲장기공사계약 관련 수익 인식 등 4대 회계이슈에 기획감리를 시행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공시 위반, 불공정거래 조사 등으로 신속한 시장 조치가 필요할 시 회사와 감사인 조치 시기를 분리 해 회사에 대해 먼저 처리하는 방안도 마련했다.
외부감사인의 적절한 운영을 점검하는 감사품질관리 감리는 지난해와 같이 10곳에 대해 수행한다.
상반기와 하반기에 각각 5곳씩이며 규모별로는 대형사 2곳, 중형사 4곳, 소형사 4곳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개선 권고사항을 이행했는지 철저하게 점검하고 사후관리로 품질관리 감리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