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금융그룹 회장의 연봉이 대폭 삭감된다. 경영실적연동제 도입에 띠라 이익이 줄어들면 최대 70%까지 깎일수도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 신한금융, 우리금융, 하나금융은 올해 회장의 기본 연봉을 지난해보다 평균 30% 줄이기로 확정했다. 지난해 평균 20억5000만원에서 올해 14억4000만원으로 하향 조정된다.
'실적 연동형' 제도를 올해 처음으로 금융그룹 회장에게 적용하기로 함에 따라 만약 금융그룹의 순이익이 50% 줄어들면 회장들의 총 연봉은 작년보다 40~70% 감소한다.
이는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금융그룹 회장의 과도한 연봉 체계에 문제가 있다면서 은행권에 성과체계 모범 규준 개정을 요청한데 따른 것이다.
그동안 금융그룹 회장은 실적이 좋을 때 과도하게 많은 성과급을 받고 실적이 나빠도 연봉이 줄어들지 않아 문제가 많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연봉 삭감 폭이 가장 큰 금융그룹은 신한금융이다. 한동우 신한금융 회장은 지난해 기본 연봉 27억5000만원을 받았지만, 올해는 37.1%가 줄어든 17억3000만원으로 책정됐다.
올해 신한금융의 순이익이 50% 하락하면 올해 한회장의 연봉은 9억2000만원까지 급감한다. 지난해 받은 27억5000만원과 비교하면 70%나 감액된다.
KB금융 임영록 회장의 올해 기본 연봉은 14억8000만원으로 지난해 23억1000만원에서 35.9% 줄어든다. KB금융의 올해 실적이 50% 감소하면 임영록 회장의 올해 총 연봉은 12억2000만원으로 떨어진다.
김정태 하나금융 회장의 기본 연봉은 올해 14억6000만원으로 지난해 19억8000만원보다 26.3% 줄어든다. 실적에 따른 최고 연봉 한도는 올해 21억원으로 지난해 38억3000만원에 비해 45.2% 줄었다.
김 회장은 하나금융 순익이 올해 반 토막 나면 총 연봉이 지난해 19억8000만원에서 올해 8억7000만원으로 56.1% 줄어든다.
이순우 우리금융 회장은 지난해 기본 연봉 12억3천만원을 받았으나 올해는 11억1천만원으로 10% 감소한다.
금융그룹 회장의 연봉이 이처럼 대폭 깎임에 따라 금융그룹 계열사 사장과 임원의 연봉도 평균 20~30% 정도 삭감된다. 은행, 카드, 보험, 저축은행, 증권사, 캐피탈사 등이 모두 해당한다.
금융당국은 금융그룹의 성과보수체계 개편에 따른 이행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올해 금융사 종합 검사나 부문 검사 시 성과 체계를 집중적으로 고려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