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MB정권 시절 대표적인 포퓰리즘 금융상품의 하나로 꼽히는 자전거보험의 성적표가 예상대로 초라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자전거보험을 판매했던 대부분 손보사들이 미미한 실적으로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개사는 이미 판매를 중단했고 2개 회사는 실적이 아예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전거보험은 보험사의 필요에 의해서라기 보다는 정부정책의 붐을 타고 만들어진 전시성 사품의 성격이 강했다.
이상품은 지난 2009년 이후 재조명 받아 단체보험 위주로 상품이 운용되고 있으며 단체보험의 경우 지방자치단체보험, 공공자전거보험, 자전거전용상품으로 크게 나누어 진다.
자전거보험을 보유했던 회사는 흥국화재, 롯데손보, 현대해상, LIG손보, 동부화재, 삼성화재, 한화손보 등이다.
이들중 LIG손보는 아예 판매를 중단했고 흥국화재, 롯데손보의 경우 아예 판매실적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회사들도 실적은 미미한 상태로 의미없는 보험으로 전락한지 오래다.
지난 4년동안 자전거보험의 판매액수는 단 4억1522만원에 그쳤고 손해액은 두배가 넘는 8억3891억원을 기록, 손해율은 202%를 기록했다.
영리를 추구하는 보험사의 입장에서는 전혀 필요가 없는 상품인 셈이다. 물론 일각에서는 에너지 절감과 환경보호를 위해서 자전거 이용을 늘리는 방안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보험도 발전 시켜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고 있다.
문제는 정부정책에 따른 강압적인 분위기에서 상품을 만들어서는 안되다는 점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보험시장은 기본적으로 사적영역이나 사회적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자발적 시장이 형성되지 않을 경우 정부는 산재보험 처럼 법률상의 가입강제를 통해 시장을 조성하고 있다"며 "자전거보험의 경우 현재 상태로는 보험사의 인수기피와 자전거이용자의 수요부족으로 자발적 시장형성을 기대하기 어려우므로 정책지원을 통해 시장기반을 조성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아직도 이런 포퓰리즘 상품이 계속해서 출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4대악 보험, 피싱 손해 보험 같은 인기에 영합하려는 보험은 사회적으로 비용만 늘리는 비효율적인 상품이라는 것이 금융권의 시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