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생겼다'란 카피로 화제를 모은 SK텔레콤의 서비스 캠페인 광고. 이번 대규모 통화 장애 사건으로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게 되었다. /광고 캡쳐
'잘 생기다 말았다.' SK텔레콤의 6시간 가까이 진행된 통화장애로 이용자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 SK텔레콤은 피해 보상의 뜻을 밝혔지만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잘 생겼다'란 서비스 캠페인을 펼치던 업계 1위 SK텔레콤으로서 최대 난관이 터졌다.
SK텔레콤은 21일 서비스 정상화 관련 대고객 공지사항을 통해 "3월 20일 일부 고객들에게 발생한 서비스 장애로 인해 불편을 끼친 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SK텔레콤은 20일 오후 6시 가입자 확인 모듈 장애 발생 직후 긴급 복구 및 원인 규명 작업에 착수해 시스템 복구를 마쳤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문제 발생 후 24분 만에 시스템 복구를 완료했다고 밝혔지만 실제 이용자들은 다음달 새벽까지도 통화 장애를 겪었다.
이에 대해 SK텔레콤 측은 "시스템을 복구했음에도 접속이 폭증하여 부득이 트래픽 제어를 실시했다"면서 "이후 소통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오후 11시 40분에는 정상화되었다"고 해명했다. 공식적으로 일부 이용자들은 6시간 넘게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던 것이다.
목요일 저녁에 발생한 이번 사고로 대리 운전 연락 및 긴급 통화를 할 수 없어 피해 민원이 발생했다. 회식 후 대리운전 호출, 응급차 연락 등 통화 장애로 손실을 입은 몇몇 SK텔레콤 이용자들은 집단 피해 보상 소송 움직임까지 보이고 있다.
한 SK텔레콤 이용자는 "목요일에 회식을 마치고 콜 택시를 부르려 했지만 전화 연결이 안 됐다"면서 "SK텔레콤은 업계 1위인데 얼마나 많은 피해자가 있었을지 상상이 안간다"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서비스 장애로 불편을 겪은 고객들에 대한 보상 방안을 마련 중"이라며 "이와 관련된 사항은 추후 안내드릴 예정"이라고 사과했다.
업계는 SK텔레콤이 서비스 장애를 겪은 이용자를 대상으로 요금 일부를 반환해줄 것으로 내다봤다. 미래창조과학부는 SK텔레콤에 통신장애 전담 민원센터를 설치해 손해배상과 관련한 소비자 민원을 접수, 처리할 것을 지시한 상태다.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 50%대로 업계 1위인 SK텔레콤은 이번 통화 장애로 '휴대전화 본질인 통화 서비스 강화로 돌아가자'는 사명을 스스로 어기게 됐다. SK텔레콤은 최근 신개념 통화 플랫폼 'T전화'를 출시하는 등 휴대전화 통화 품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발굴해왔다. 하지만 6시간 가량 이어진 통화 불통 장애로 업계 1위의 자존심과 통화 품질 캠페인 이미지 타격이라는 후폭풍이 계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