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단독 영업기간에 6시간여 통신 장애가 발생하는 날벼락을 맞았다. 이번 사태로 인해 단독 영업기간 중 최대한 가입자 유치에 힘쓰려던 SK텔레콤의 계획에도 차질이 빚어졌다.
SK텔레콤에 따르면 20일 오후 6시께 가입자 확인 모듈 장애로 인해 560만명이 통화나 네트워크 서비스 등을 이용하는데 불편을 겪었다.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한 듯 하성민 SK텔레콤 사장은 21일 오후 서울 을지로 본사에서 열린 긴급 기자간담회에 직접 참석해 "시스템 장애로 고객에게 불편을 드린 데 대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면서 "향후 이같은 장애 재발 방지와 서비스 개선을 위해 기본으로 돌아가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대국민 사과를 발표했다.
하 사장은 이어 "통신사 문제로 고객들이 통화 장애를 입을 경우, 약관에는 피해를 본 시간의 6배를 보상해준다고 명시했지만 이번에는 10배 보상을 할 것"이라며 "별도의 신청 없이도 다음달 요금제에서 피해 금액만큼 감면 보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하 사장이 직접 나서 대국민 사과에 나선 데는 이동통신사 영업정지로 인해 불편을 겪고 있는 국민들이 최근 통신시장에 대한 따가운 시선을 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SK텔레콤은 일주일만에 두차례 통신 장애가 발생하는 등으로 인해 향후 고객 이탈을 우려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SK텔레콤은 지난 13일에도 외부 장비에 문제가 발생해 인터넷 검색이 제한되면서 20여분간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은 바 있다. 당시 SK텔레콤은 인터넷주소를 입력하면 인터넷프로토콜(IP)로 변환해 사이트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도메인네임시스템(DNS)에 일시적으로 트래픽이 몰려 과부하가 발생했다고 해명했다.
현재 미래창조과학부가 '불법 보조금 지급을 금지하라'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시행명령을 불이행한 이통3사에 각각 45일간의 영업정지를 부과한 상황이다. 각사별 영업정지 일정에 따라 지난 13일부터 KT와 LG유플러스가 동시 영업정지에 들어갔고, SK텔레콤만 단독으로 영업을 하고 있다. 가장 먼저 영업정지에 들어간 SK텔레콤으로서는 초기 단독 영업기간 어느정도 고객 유치에 성공하지 못하면 향후 SK텔레콤의 영업정지 기간에 가입자 수가 더 줄어들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단독 영업기간 초반부터 예상보다 통신시장 상황은 잠잠하고, SK텔레콤은 가입자를 예상보다 끌어들이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통신 장애마저 발생하며, 현재 가입자들의 불만과 함께 불안감마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하 사장이 직접 나서 장애 재발 방지와 서비스 개선 노력, 보상 등을 약속했지만 통신 장애 발생시 택배 기사와 콜택시 등 사업과 연계되거나 중요한 상황이 닥쳤을 때 소식을 전할 길이 갑자기 생기지 않는다면 심각한 우려를 야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이용자들은 이번 사태를 심각하게 바라보기도 했다. 한 SK텔레콤 이용자는 "만일 가족들 중 누군가 사고가 났는데 통신 장애로 연락이 되지 않을 경우를 생각해보라"면서 "이에 대한 책임을 돈으로 배상시킬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과거 피처폰 시대보다 스마트폰 시대로 변하면서 통신 장애의 심각성이 더해지고 있다"면서 "점점 트래픽은 증가하고 있는데 망 투자 등 이에 대한 대비를 못할 경우 내일이라도 또다시 이런 사태가 반복되지 않으리라는 보장은 없다"고 역설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지금은 경쟁사가 영업정지 기간이라 SK텔레콤 가입자들이 다른 통신사로 이동하지 못하지만 이후 경쟁사의 단독 영업기간이 되면 잇따른 통신장애에 뿔난 이용자들이 경쟁사로 이동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