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IT/인터넷

청소년 4명 중 1명,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정부, 예방 대책 추진

청소년 4명 중 1명은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에 속한 것으로 드러났다. 성인의 경우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은 10명 중 1명 꼴이었다.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은 스마트폰을 과다하게 사용해 금단·내성 현상을 보이고 일상생활에 장애를 겪는 상태를 말한다.

24일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만 10세 이상 54세 이하 스마트폰 이용자 1만556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스마트폰 이용자의 11.8%가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에 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0.7%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연령별로는 청소년(만 10~19세)은 25.5%로 전년(18.4%) 대비 7.1%포인트 증가한 반면, 성인(만 20~54세)은 8.9%로 전년(9.1%) 대비 0.2%포인트 감소했다.

스마트폰 이용자의 91.1%는 '스마트폰 중독문제가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스마트폰 중독위험 해소방안으로 예방교육(51.5%)과 상담(26.2%)을 가장 많이 꼽았다.

아울러 만 5세 이상 54세 이하 인터넷 이용자 1만7500명을 대상으로 가구방문 대인면접조사를 통해 실시한 '2013년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결과 인터넷 중독위험군은 조사대상 인터넷 이용자의 7.0%로, 전년 대비 0.2% 감소했다. 연령별로 유아동은 6.4%, 성인은 5.9%로 각각 전년 대비 0.9%포인트, 0.1%포인트 감소했으나 청소년은 11.7%로 전년 대비 1.0% 증가했다.

정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인터넷 및 스마트폰 중독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예방 확대, 관련 인프라 조성 등 '2014년 인터넷중독 예방 및 해소 추진계획'을 수립했다.

우선 유아, 초·중·고교생 714만명 등에 대한 맞춤형 예방교육 의무화 실시를 위해 전문강사의 특강교육과 병행해 각 연령대에 맞는 시청각 콘텐츠(5종)를 제공함으로써 유치원 및 학교에서 자체 예방교육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또 건전게임문화 조성을 위한 게임과몰입 예방교육인 '찾아가는 게임문화교실'을 17만명 대상에서 22만명 대상으로 확대하고, 가족 중심의 예방실천 등 범국민 인식개선을 위한 홍보를 강화하며 학교에서의 자율운동을 실천하는 '스마트미디어 청정학교'(20개)도 신규 운영키로 했다.

이밖에 청소년의 중독 위험정도에 따라 인터넷중독대응센터 등 지역별 유관기관을 활용한 차별화된 상담·치유서비스를 강화하고 공존질환 보유 청소년에 대한 병원치료를 연계한다.

스마트폰용 및 PC용 유해정보차단 소프트웨어의 성능 개선 및 보급 확대와 중독위험 청소년 대상 기숙형 치유서비스를 지원하는 상설 인터넷 치유학교를 신규 운영하며 지역별 인터넷중독대응센터 설치도 확대할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추진계획을 통해 청소년 등 국민 모두가 인터넷 및 스마트폰을 보다 건강하게 사용해 국민행복 시대를 열어 나가고, 경제혁신과 창조경제를 실현하는데 밑거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