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0월 중소 IT기업에서 은퇴한 강성민(58·가명) 씨는 얼마 전부터 다시 일을 시작했다. 은퇴할 당시 만해도 1년간 쉬면서 '제2의 인생'을 차근차근 설계할 예정이었는데 2년 전 대학을 졸업한 아들이 연이은 취업실패 끝에 얼마 전 공무원 준비를 하겠다고 선언했기 때문이다.
50대 아버지는 일하고 20대 자식은 노는 가정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24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통계청의 2013년 '경제활동 인구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른바 베이비붐 세대로 불리는 50대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지난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반면 20대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50대의 경제활동 인구는 571만 3000명로 이는 전체 50대 인구의 74.5%에 달한다. 50대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0년에 비해 5.8%포인트나 증가했다.
반면 지난해 20대 인구 628만5000명 중 경제활동인구는 387만4000명으로 경제활동 참가율이 61.6%까지 떨어졌다. 이는 2000년(64.9%)보다 3.3% 포인트나 감소한 수치다.
이에 따라 50대와 20대의 경제활동 참가율 격차는 2000년 3.8%에서 2013년 12.9%로 3배 이상 증가했다.
한편 지역별로도 경제활동 참가율 차이가 컸다.
50대의 경제활동이 가장 활발한 지역은 제주도가 83.9%로 1위를 차지했으며 경상북도(80.9%), 충청남도(80.4%), 전라남도(78.7%), 충청북도(76.3%), 전라북도(76.3%)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특별시는 72.7%로 전국에서 3번째로 낮았다.
반면 일하는 20대의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충청남도(66.1%)였다. 뒤이어 제주도(66%), 인천광역시(64%), 경기도(63.9%), 전라남도(63.9%), 서울특별시(63.4%) 등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