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가 스마트폰 롱텀에볼루션(LTE) 서비스 확대와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 등 인터넷 신사업 촉진을 위해 무제한인터넷주소(IPv6) 전환에 본격 나선다.
미래부는 올해를 'IPv6 서비스 원년'으로 정하고 올 하반기 IPv6 상용서비스 개시를 시작으로 네트워크-서비스-단말 전 구간에 IPv6가 본격 확산되도록 하기 위한 '민·관 합통 IPv6 확산 로드맵'을 26일 발표했다.
IPv6 주소는 기존 인터넷주소(IPv4) 고갈대응을 위해 국제인터넷표준화기구(IETF)에서 만든 주소로, 주소개수가 약 43억개였던 IPv4에 비해 IPv6는 주소개수가 2의 128제곱으로 거의 무제한 할당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또 사설 IP를 사용하지 않아 단말기 간 일대일 통신을 할 수 있으며 이용자가 다른 기지국으로 이동하더라도 IP 주소가 바뀌지 않아 서비스를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이번 미래부가 말표한 로드맵은 민·관 합동으로 추진해온 인터넷망의 IPv6 준비율이 상당히 높아진 점과, LTE 서비스 및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등 인터넷 신사업으로 인한 IP 수요가 급증할 것을 고려해 실질적인 IPv6 서비스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인식하에 이뤄졌다.
지난해 로드맵 마련을 위해 통신, 초고속인터넷(ISP), 콘텐츠(CSP) 부문 369개 사업자를 대상으로 IPv6 전환현황 및 계획, 전환비용 및 애로사항, 2000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단말지원 현황을 조사하고 사업자간 협의를 거쳐 분야별 목표치와 일정을 설정했으며, 모든 사업자가 로드맵을 공유·협력하고 정부는 IPv6 전환 촉진 지원사업, 제도·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뒷받침하는 추진체계를 마련했다.
IPv6 전환비용으로는 기 투자금액 6조1000억원과 향후 투자예정금액 2조1000억원 등 총 8조2000억원을 책정했다.
로드맵에 따르면 올 하반기 SK텔레콤이 IPv6 기반 이동통신(LTE), SK브로드밴드가 초고속인터넷, 다음이 웹사이트 상용서비스를 개시하고 주요 ISP(KT, SK텔레콤, SK브로드밴드, LG유플러스)의 백본망은 올해까지, 가입자망은 2017년까지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다. 제조사(삼성전자, LG전자, 팬택)의 IPv6 지원 스마트폰은 올 하반기 상용서비스 시점에 맞춰 출시될 방침이다.
한편 미래부는 올 하반기 상용서비스의 성공적 개시를 위해 웹사이트, CDN 상용화 지원 사업 추진과 동시에 민·관 상용화 지원 협의체를 구성·운영하고, IPv6 도입 기업의 부담 완화를 위해 기재부와 협의, 조세특례제한법 시행규칙을 개정함으로써 신규 투자되는 IPv6 장비에 대해 소득세 또는 법인세 감면 적용 및 IPv6 연동망의 국제 전용회선을 신설해 무료 제공할 계획이다.
아울러 공공부문 네트워크·웹사이트에서 IPv6 도입을 의무화해 민간부문으로 확산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기술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문교육(연 1200명), 기술컨설팅(연 20개사)을 비롯해 'IPv6 전환 종합지원센터' 구축에 나선다.
이진규 미래부 인터넷정책관은 "올 하반기 IPv6 상용서비스가 개시되면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국내 IPv6 이용률이 조만간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수준으로 상향될 것"이라며 "이번 로드맵을 계기로 IPv6 전환이 앞당겨지고 인터넷·통신 장비와 사물인터넷 등 인터넷 신산업이 활성화되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