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도시 곳곳을 교육 장소로 만들고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게 하는 교육도시로 탈바꿈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7일 '교육도시 서울 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4년간 1조5890억원의 예산을 들여 전인교육은 물론 세대별 맞춤교육 등 전 생애에 걸쳐 그 시기에 맞는 교육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시는 우선 교사, 부모, 지역 사회가 협력해 아이를 함께 키우는 '영유아 중심의 돌봄과 교육 혁신 어린이집'을 2017년까지 32곳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부모공동조합 형태의 유치원인 이탈리아의 '레지오 에밀리아'를 벤치마킹한 것으로 교사가 아닌 아이의 관심사를 위주로 교육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 급증하는 비인가 대안교육기관도 지원한다. 이달부터 38개 대안교육기관 초·중학생 496명에게 친환경 무상급식을 지원하고, 5월에 비인가 대안교육기관 지원 종합계획을 발표한다.
또 학교폭력 발생이 잦은 지역을 골라 2017년까지 '생태인권 평화마을' 10곳을 조성한다. 학교폭력 가해·피해·방관자들에게 맞춤형 교육을 하려는 목적이다.
도서관과 평생학습관 20곳을 초등학생 대상 인성교육용 '까치서당'으로 운영하고, 학교보안관 중 해당 마을 출신 어르신과 여성의 비율을 2017년까지 65%로 높일 계획이다.
아울러 어린이대공원, 월드컵공원, 보라매공원, 서울대공원을 프랑스 '라빌레트' 같은 '테마 교육공원'으로 만들어 에너지·환경·농업·과학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이어 2016년까지 청소년수련관 5곳을 청소년 복합문화공간으로 바꾸고 김포 가압장엔 핀란드의 '아난딸로' 같은 '아동·청소년 예술교육센터'를 조성하기로 했다.
성인들의 평생학습을 위해 서울시립대, 서울시청 시민청, 은평학습장에 '개방형 시민대학' 13곳을 운영하고, 2017년까지 28곳으로 확대한다.
공공도서관도 2017년까지 24곳을 추가로 확보하고, 평생교육정책의 허브 역할을 할 '서울시 평생교육진흥원'을 다음달 3일 개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