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범죄 발생 건수는 늘어난 반면 기부의 손길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남성의 음주·흡연은 줄고 있지만 여성은 오히려 늘었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3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2012년 총 범죄 발생건수는 194만5000건으로 2008년 이후 감소세로 돌아선지 4년 만에 다시 증가세로 반전했다. 인구 10만명당 범죄 건수도 2010~2011년 3750건에서 2012년 3817건으로 늘었다.
형법범 건수도 103만8609건으로 2011년보다 4.1% 증가했다. 절도가 29만3000건으로 전년 대비 4.1% 늘었고, 살인(-15.7%), 강도(-34.3%), 강간(-3.1%) 등은 감소했다.
기부참여율은 줄었다. 2012년 조사에서 최근 1년간 현금을 기부해 본 사람은 32.5%로 2011년 조사에서보다 2.3%포인트 감소했다. 물품기부를 한 사람은 2011년 8.5% 수준이었으나 2012년 조사에서는 물품기부 경험자가 5.9%에 불과했다. 사회복지시설은 2012년 6563개로 2011년 4469개에서 1223개나 늘었다.
남성 흡연율은 2012년 43.3%로 2011년보다 3.5%포인트나 크게 낮아졌다. 19세 이상 인구의 고위험 음주율도 남성은 2012년 25.6%로 전년보다 0.9%포인트 떨어졌다. 반면 여성 흡연율은 같은 기간 6.5%에서 7.4%로 올랐고, 고위험 음주율도 6.5%에서 8.0%로 높아졌다.
한국인의 주요 사망원인 가운데 서구형 질병인 심장질환 비율이 처음으로 뇌혈관질환 비율을 앞질렀다. 인구 10만명당 심장질환 사망자 수는 2011년 49.8명에서 2012년 52.5명으로 늘었다. 같은 기간 뇌혈관질환 사망자 수는 인구 10만명 당 50.7명에서 51.1명으로 증가했다. 이로써 심장질환이 암에 이어 사망원인 2위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