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이슈진단]이통3사, '갤럭시S5' 조기 출시 막전막후

사진제공=SK텔레콤



SK텔레콤이 삼성전자의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5'를 공식 출시일보다 앞당겨 27일부터 판매에 들어가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SK텔레콤은 그동안 삼성전자와 갤럭시S5의 조기 출시 여부를 놓고 협의를 진행했다. 당초 삼성전자는 갤럭시S5 출시일을 다음달 11일로 발표했지만, 최근 불법 보조금 경쟁으로 인한 이동통신사 영업정지 조치에 들어가면서 SK텔레콤측이 경쟁사로의 가입자 이탈 우려에 조기 출시를 제안했다.

순차적 영업정지 일정에 따라 KT와 LG유플러스는 지난 13일부터 신규 가입자 유치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현재 SK텔레콤만 단독 영업 중이며, 다음달 5일부터 영업정지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가 예고한대로 갤럭시S5가 다음달 11일 공식 출시되면 SK텔레콤으로써는 영업정지가 끝나는 5월 20일부터 가입자 유치가 가능해진다. 결국 경쟁사보다 한달여 늦게 갤럭시S5를 통한 마케팅이 가능한 셈이다.

최근 통신 장애 등 악재를 겪은 SK텔레콤으로써는 단독 영업기간 가입자 유치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SK텔레콤은 삼성전자측과 협의와는 별개로 단독 조기 출시를 발표했다.

삼성전자측으로써는 앞서 신종균 IM(IT모바일)부문 사장이 갤럭시S5의 국내 출시 일정이 앞당겨지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아니다"라고 답한 바 있어 양사간 향후 갈등이 예고되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번 SK텔레콤의 갤럭시S5 조기 출시는 우리측과 사전협의 없이 진행된 사안"이라며 "향후 대응방안에 대해서는 정확한 상황 파악을 한 뒤 어떻게 할 지 협의 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주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업계에서는 양사가 어느정도 합의한 뒤 출시를 계획한 것이 아니겠느냐는 반응이다. 삼성전자의 대응도 미진한데다 향후 신제품 출시 등 관계에 있어 SK텔레콤의 독단적인 결정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판단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삼성전자와의 협의가 없었다고 하기엔 애매한 부분이 있다"며 '그렇다면 SK텔레콤의 독단적인 결정이 아니냐'는 물음에도 "답하기 곤란하다"고 전했다.

SK텔레콤이 갤럭시S5 단독 조기 출시를 발표하자 KT와 LG유플러스도 연이어 갤럭시S5의 출시를 발표했다. 다만 KT와 LG유플러스는 현재 영업정지 기간이기 때문에 신규 가입자 유치는 불가능하며 24개월 이상 단말기 이용자나 파손·분실 휴대전화 이용자에 한해 기기변경만 가능한 상황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SK텔레콤이 갑작스런 갤럭시S5 조기 출시에 대응하기 위해 삼성전자와의 협의를 거쳐 우리도 대응을 위해 조기 출시를 발표했다"면서 "영업정지 일정이 끝나는대로 본격적인 가입자 유치를 위한 마케팅에 들어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현재 LG유플러스는 다음달 5일부터 단독 영업에 들어가기 때문에 유리한 상황이다. 다만 다음달 27일부터 또다시 영업정지 기간에 들어가기 때문에 약 20일간 적극적인 가입자 유치에 전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반면 KT는 영업정지가 끝나는 다음달 27일부터에나 본격적인 갤럭시S5 마케팅이 가능하다. 이통 3사 중 경쟁에서 다소 뒤쳐진 것이 사실이지만 가장 먼저 영업정지가 완전히 종료되기 때문에 이날을 기해 본격적인 가입자 유치에 들어갈 계획이다.

한편 갤럭시S5 출시를 준비중인 알뜰폰 사업자의 경우 예정대로 다음달 11일 공식 출시일에 판매될 예정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통3사를 제외한 사업자의 경우 예정대로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