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갤럭시S5 조기 출시 마법은 없었다…SKT 번호이동 오히려 감소



'갤럭시S5 마법'은 없었다.

삼성전자 전략 스마트폰 신작 갤럭시S5 조기 출시에도 SK텔레콤 가입자는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 점유율 50%의 업계 1위를 지키려는 SK텔레콤과 시장 부진을 타개하려는 삼성전자가 갤럭시S5 승부수를 던졌지만 극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30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의 번호이동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7일 SK텔레콤은 8482건의 신규 가입 실적을 올렸다. 알뜰폰을 제외한 신규 가입은 5833건이다. 갤럭시S5 출시 당일임에도 신규 가입 대폭 증가는커녕 감소 추이를 보였다.

24일 알뜰폰을 제외한 신규 가입 1만7118건에 비하면 3분의 1 가량 줄어든 것이다. 주말 신규 가입 실적이 들어가는 월요일 실적이 통상 제일 높지만 이 점을 감안해도 큰 하락세다. 25일 신규 가입 건수는 6013건, 갤럭시S5 출시 전날인 26일은 6020건이었다.

KT와 LG유플러스도 비슷한 추이를 보였다. 현재 KT와 LG유플러스는 동시 영업정지 중이며 단말기 2년 이상 사용자 및 고장·분실 고객 대상으로만 영업이 가능하다. 갤럭시S5 출시 당일 KT 전체 신규 가입자는 1690명, LG유플러스는 128명이었다.

당초 갤럭시S5는 다음달 11일 전세계 출시 예정이었지만 SK텔레콤과 삼성전자는 영업정지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난 27일 갤럭시S5의 조기 출시를 감행했다. 이에 따라 같은 날 KT와 LG유플러스도 갤럭시S5를 동시 출시했다. SK텔레콤은 다음달 5일 영업정지를 시작한다.

시장에서는 갤럭시S5의 출시 부진 원인을 부족한 물량과 고가의 출고가로 분석했다.

갤럭시S5가 예정 출시일보다 국내에서 2주 먼저 나오면서 공급 물량이 부족한 것이다. 업계는 SK텔레콤이 확보한 갤럭시S5 초도 물량을 약 1000대로 파악했다. 물량 공세를 펴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보조금 없는 스마트폰 구입에 대한 소비자의 낯선 심리도 걸림돌이다. 삼성전자는 갤럭시S5 출고가를 전작 갤럭시S4보다 3만원가량 낮은 86만6800원으로 책정했지만 SK텔레콤의 10만원 할인 프로모션으로도 보조금 관행을 극복하긴 힘들 전망이다.

SK텔레콤의 통신 장애 사건도 신규 가입 유입률을 떨어뜨렸다는 분석도 나왔다.

업계 관계자는 "대규모 통신 장애 사태로 SK텔레콤 신뢰도가 떨어진 것은 사실"이라며 "소비자들이 보조금 없는 단말기 구입을 꺼리는 데다 영업정지가 끝난 이후 갤럭시S5 가격이 더 저렴해질 때를 기다리는 것 같다"고 전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