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대', '표본실의 청개구리' 등의 작품을 남기며 우리나라 근대 문학의 한 획을 그은 횡보 염상섭(橫步 廉想涉, 1897~1963)의 상(像)이 시민들의 곁으로 돌아온다.
교보생명은 '횡보 염상섭의 상'을 서울 종로구 삼청공원에서 광화문 교보생명빌딩 종로 출입구 앞으로 이전한다고 1일 밝혔다.
'횡보 염상섭의 상'(조각가 김영중 作)은 1996년 문학의 해에 한국근대문학을 대표하는 인물로 선정된 것을 기념해 문화체육관광부와 문학의 해 조직위원회가 만들었다. 당시 교보생명은 협찬사로 제작에 참여했다.
누구나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는 벤치 형태의 브론즈 좌상으로, 많은 시민들이 접하도록 하자는 뜻에서 염상섭의 생가 부근이자 유동인구가 많은 종로구 종묘공원 입구에 설치했다.
하지만 2009년 종묘공원 정비사업 과정에서 삼청공원 약수터로 옮기게 되면서 시민들과 멀어지게 됐다.
이후 염상섭의 위상에 걸맞으면서 시민들 가까운 곳에 자리해야 한다는 여론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특히 한국문인협회와 한국작가회의를 비롯한 문학계에서는 최적의 장소로 광화문 교보생명빌딩 주변을 주목해왔다.
횡보 염상섭 상의 제자리를 찾아주자는 취지에 공감한 교보생명이 종로구청, 대산문화재단의 협조에 힘입어 광화문 교보생명빌딩 남쪽 부지를 제공하기로 결정했다.
광화문 교보생명빌딩은 엽상섭이 주로 활동한 광화문 네거리에 위치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종로 출입구는 교보문고 광화문점의 주 출입구이기도 하다.
교보생명 관계자는 "횡보 염상섭 선생의 문화계 위상과 염상섭 상의 예술적 가치를 고려했을 때 사람들의 왕래가 많은 장소로 옮기는 것은 우리나라 문학 발전을 위해서도 필요한 일"이라며 "앞으로 보다 많은 시민들이 그의 문학과 정신을 접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