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밥족(혼자 밥을 먹음), 독강족(홀로 강의를 들음)···.
대학가에 이같은 '자발적 아웃사이더' 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1일 취업포털 사람인이 대학 이상 재학생 및 졸업한 구직자 390명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중 아웃사이더 행동 여부'를 설문한 결과, 47.7%가 '경험이 있다'라고 답했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49.8%)이 '여성'(45.6%)보다 응답 비율이 더 높았다.
대학 내에서 했던 아웃사이더 행동으로는 '학과행사 불참'(59.7%, 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홀로 강의신청'(58.6%), '혼자 밥 먹음'(58.1%), '공강시간에 도서관에서 홀로 보냄'(53.8%), '과 사람들과 어울리지 않음'(46.2%), '동아리 가입 안 함'(37.1%), '밥만 같이 먹는 무리를 만듦'(10.2%), '수업 중 조별과제 대신 개인발표 진행'(10.2%) 등도 있었다.
그 이유로는 '불필요한 것에 신경 쓰지 않아도 되어서'(53.8%, 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다. '혼자서 행동하는 것이 더 편해서'(52.7%), '시간을 효율적으로 쓰고 싶어서'(41.9%), '사교성이 부족해서'(26.3%), '친해지고 싶은 사람이 없어서'(25.3%), '지출이 부담돼서'(23.1%), '취업에 집중하고 싶어서'(18.3%) 등의 답변이 이어졌다.
하지만 응답자의 72%는 아웃사이더 행동을 하며 부정적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적 영향으로는 '자소서 등에 부각시킬 경험 부족 아쉬움'(45.5%,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흥미와 집중력 저하'(38.1%), '예민해짐'(30.6%), '내성적으로 변화'(27.6%), '취업 등에 대한 압박감 증폭'(23.9%) 등을 호소하는 대학생도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