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서민대출 금융상품인 '새희망홀씨'의 공급액을 지난해 1조9000억원에서 10% 확대해 2조1000억원 이상이 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최 원장은 2일 서울 영등포구 한국이지론 본사에서 열린 '서민금융 유관기관 간담회'에서 이처럼 밝혔다.
새희망홀씨는 은행이 소득이 적거나 신용등급이 낮은 서민을 대상으로 10% 안팎의 금리에 대출을 해주는 대표적인 서민금융 지원제도 상품이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서민들이 대출 지원을 받을 만한 금융채널이 대폭 줄어 저신용자들의 금융 안전망 우려가 높아진 점에 대한 해소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자리에는 이상권 한국이지론 대표이사를 포함해 최규연 저축은행중앙회장과 김근수 여신금융협회장, 주용식 신용정보협회장, 양현근 금감원 서민금융지원국장 등 6명이 참석했다.
최근 제1·제2 금융권 회사들이 경기침체 등에 따른 리스크 강화를 이유로 서민 대출을 꺼리면서 서민 대출사기나 불법 고리사채 피해 우려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최 원장은 서민금융 안전망 강화를 위해 '대출거절사유 고지제도'와 '개인신용평가시스템(CSS)'을 활성화할 방침을 밝혔다.
그는 "저축은행의 대출 거절률이 40% 가까이 되고 국민은행도 30% 이상"이라며 "저금리의 자금을 요긴하게 대출해 쓸 수 있는 접근권이 보장되려면 기존에 마련된 법적인 제도를 합법적으로 정착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2010년 9월 대출거절사유 고지제도가 도입됐으나 제대로 시행되지 않고 있다"며 "시중 금융회사에서 대출이 거절됐을 때 그 사유를 알아야 개인들이 자신의 신용상태를 잘 관리할 수 있는데 그렇지 않아 악성 불법 대부업체를 찾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법적인 취지대로 정착할 수 있도록 활성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원장은 CSS 도입도 주요한 과제로 꼽았다.
최 원장은 "일부 은행과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CSS를 추진 중"이라며 "이 제도를 통해 저신용자 평가시스템을 강화해 누구나 저리의 자금을 요긴하게 쓸 수 있도록 접근권을 보장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축은행 업계도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최규연 저축은행중앙회장은 먼저 "이지론의 매출 70%가 저축은행을 통해 발생한다"며 "저축은행 업계의 영업이 상당히 어렵고 여신도 계속 축소되는 상황에서 대출 수요와 공급의 매칭이 어려운 점이 있다"고 토로했다.
최 회장은 "그러나 이지론은 직거래 장터와 비슷한 방식이므로 저축은행 업계가 모집인 수당 증가와 텔레마케팅(TM) 영업 위축 등으로 어려운 상황에서 그 역할이 더 중요해지고 있다"며 "서민금융기관의 존재 이유를 고려할 때 지원 제도가 대단히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석승 한국대부금융협회장은 "저신용자의 급전 채널이 실질적으로 사라진 상황에서 이지론이 공적 대출중개 역할을 하고 있다"며 "다만 대부업계는 수요-공급의 문제를 안고 있어 장기적인 서민금융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력을 피력했다.
이 자리에서 최 원장과 이지론 대표는 금융회사의 적극 협조를 당부했다.
최 원장은 "한국이지론의 대출실적 통계의 상당수가 오프라인에 의한 대출"이라며 "이지론의 제휴 금융회사 수를 현 65개에서 100개 이상으로 늘릴 수 있도록 금감원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상권 한국이지론 대표는 "이지론에서 대출 승인을 받은 고객이 금융회사 영업점에서 대출을 거절당하는 사례가 종종있다"며 현장에서 적극적인 대출 지원에 나서야함을 강조했다.
대학생들이 저금리 학자금 대출로 전환할 수 있도록 지원책을 강화하는 논의도 나왔다.
최 원장은 "대학생들이 대부업이나 저축은행에서 20% 이상 고금리 자금을 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신용회복위원회의 보증과 캠코 '바꿔드림론' 보증제도 등을 통해 저리 자금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독려하겠다"고 말했다.
이지론은 지난 2005년 10월 금융소회계층 등 서민들의 사금융 수요를 제도권 금융회사로 흡수하기 위한 목적으로 각 금융회사와 NICE인프라, 저축은행중앙회 등 19개사가 공동출자해 설립한 사회적 기업이다.
지난해 맞춤 대출중개 실적은 843억원이며 평균 금리는 10%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