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시설 및 민간분야 웹사이트에 대해 장애인 정보접근성이 개선돼야 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안전행정부는 행정·공공기관, 민간 등 636개 웹사이트 및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2013년도 장애인 정보접근성 실태조사'를 3일 발표했다.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웹사이트 접근성 수준은 중앙부처·광역자치단체는 90점이 넘어 우수, 기초자치단체·대민서비스·공공기관·교육·의료기관·문화예술단체는 80점대로 보통, 민간법인은 70점대로 낮게 나타났다. 특히 복지시설 등 장애인의 이용이 빈번한 사이트의 접근성이 60점대로 미흡한 수준으로 평가됐다.
조사 항목별로는 22개 조사항목 중 시각장애인에게 불편했던 '깜빡이는 콘텐츠 사용 제한'이 가장 우수했고(준수율 100.0%), '온라인 서식 레이블 제공'이 가장 낮은 준수율(준수율 49.4%)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모방일 앱 접근성 수준은 중앙행정기관, 공공기관, 미간법인이 각각 79.4점, 71.7점, 72.7점으로 나타나 장애인의 모바일 접근성 수요에 부응하는 앱 접근성 개선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미래부와 안행부는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해당 기관에 통보해 미흡한 부분에 대한 개선을 유도하고 공공 및 민간부문 웹사이트 및 대민서비스에 장애인이 불편 없이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웹 접근성 지킴이'를 통한 컨설팅을 실시해 중소기업, 소상공인 및 비영리기관, 특히 복지시설의 웹 접근성 개선을 지원할 것"이라며 "모바일 접근성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모바일 앱 접근성 품질인증제도 시범도입과 함께 진단 및 컨설팅 등도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